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는 다양한 영화들 가운데 현재 한국 사회에서 대중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관심사 가운데 하나인 매체의 ‘맛집’ 소개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관객의 입장에서 살펴 본 학생의 감상평을 통해 살펴보자. 남이 맛있게 먹는 걸 구경하는 게 참 궁상맞은 일인데, 그 궁상맞은 일조차 허상일 때, 이거 참 민망하다. / 이안 영화평론가

외식 문화에 관심이 많은 이라면 TV에 나왔던 맛집에 찾아 갔다가 적잖이 실망한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그런 경험이 쌓이고 쌓여 TV에 나온 집이라면 질색부터 하고 보는 사람도 있다. 도대체 TV에 나온 맛집들은 왜 맛이 없을까? MBC에서 PD 생활을 하며 미디어의 불편한 진실을 많이 봐왔다는 김재환 감독의 ‘미디어 3부작’ 기획의 첫 번째 작품 <트루맛쇼>는 그 궁금증을 시원하게 풀어준다.

한 음식점이 방송에 한 번 출연하기 위해 방송사에 내야 하는 돈은 무려 천만 원. 스타의 단골 맛집으로 방송되기 위해선 기본 900만원에 스타의 몸값에 따른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방송 컨셉에 맞춰 방송용 메뉴도 급조한다. 이를 위한 맛집 방송 전문 브로커도 존재한다. 손님들도 미리 섭외한다.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연출이다. 그러다 보니 맛집 방송에도 나름의 상투적 표현 기법들이 있을 정도이다.

   
 
 
손님들은 하나같이 음식이 서빙될 때 박수치며 환호한다. 먹은 후에 하는 반응들도 천편일률적이다. 실상이 이러니 TV 속 맛집이 진짜 맛집일 수가 없다. 무가지의 광고성 기사 수준의 홍보와 다를 바가 없다. 공영 방송에 의해 저널리즘이나 시사교양으로 둔갑돼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오히려 더 악질이다. 심지어는 위생 불량, 원산지 표기 위반으로 방송된 식당들이 같은 방송사의 다른 프로그램에선 맛집으로 방송되기도 한다.

<트루맛쇼>가 맛집 방송의 허상을 폭로하기 위해 택하는 방법은 직접 사기극의 한복판에 뛰어드는 것이다. 제작진은 일산에 ‘몰래 카메라 친화적인 인테리어’의 음식점을 만들어 방송을 유치하면서 그 과정을 보여주고, 맛집 방송에 손님으로 출연하며 그 제작 현장을 몰래 촬영한다. 무려 3년에 걸친 잠복 취재의 결과물들은 재치 있는 편집으로 버무려져 있다. 브로커는 몰래 카메라 앞에서 자신의 날조 내력을 신난 듯이 자랑하고, 영화는 그런 그의 활약상을 편집해서 보여준다. 

   
전주국제영화제 상영작 다큐멘터리 '트루맛쇼'
 
화학조미료가 버젓이 비치된 주방에서 재료가 좋으면 조미료가 필요 없다고 말하는 방송에 <트루맛쇼>는 조미료가 좋으면 재료가 필요 없다고 말하는 가짜 인터뷰 영상을 이어 붙여 응수한다. 가장 압권인 순간은 제작진이 촬영을 위해 개점한 음식점이 방송에 실제로 소개될 때이다. 방송 당일 급조한, 도저히 먹을 수 없는 음식이 건강식으로 소개되고, 미리 섭외된 손님들은 그것을 자주 먹는다고 말한다.

이쯤 되면 시사교양 방송이 아니라 <트루맛쇼>의 표현대로 ‘시트콤’이다. 감독의 MBC 입사 동기인 박나림 아나운서가 맡은 내레이션은 시종일관 방송사들을 조롱한다. 여태껏 시청자들을 속이며 기만해온 방송들이 이번엔 <트루맛쇼>에게 철저히 속으며 기만당한다. 때문에 분노할만한 진실의 폭로가 이어짐에도 분노보다는 통쾌함이 더 크게 느껴진다.

영화에 등장하는 한 음식 칼럼니스트는 제대로 된 음식 비평이 부재한 까닭에 저질 맛집 방송이 범람한다고 말한다. 또 다른 칼럼니스트는 음식 자체를 즐기기보다는 그저 유명세만 쫓아다니는 일그러진 식도락 문화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하지만 그렇게 단순한 문제일까? 시청률에만 매달리는 방송사, 그 밑에서 경쟁에 내던져지는 PD와 작가들, 성공의 열망에 젖은 수 많은 자영업자들, 구경거리를 원하는 시청자들,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이득을 보려는 브로커들. 맛집 방송이라는 촌극은 이 모든 이들의 욕망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 21세기 한국 사회의 지독한 단면도다.

<트루맛쇼>를 보고 누군가는 ‘이미 다 알고 있던 사실 아니었어?’라고 반응할 수도 있다. 맛집 방송의 비밀은 이미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공공연한 비밀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트루맛쇼>가 단순히 ‘뒷북’만 울리는 영화는 아니다. 영화가 확인시켜주는 진실은 심증과 소문을 아득히 뛰어넘을 정도로 추악할뿐더러, 공공연한 비밀이 더 이상 비밀일 수 없게 수면 위로 드러내는 효과를 가진다.

   
전주국제영화제 상영작 다큐멘터리 '트루맛쇼' 김재환 감독
 
안데르센의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에서 임금님은 아이가 임금님이 발가벗었다고 불쑥 말하는 순간 비로소 발가벗겨진다. 모두가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그러나 쉬쉬하던 문제를 스크린에 올려놓았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트루맛쇼>는 미디어의 기만을 의제화하고, 그것을 방기하던 우리 스스로를 반성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힘을 발휘한다. 감독은 말한다. 이 쇼를 계속 볼 것인지, 채널을 돌릴 것인지 선택하라고. 하지만 미디어에 대한 신뢰가 산산조각 난 이후에도 이 쇼를 계속 보는 것이 가능할까? 영화의 말미에서 관객에게 직접 제시되는 이 감독의 말은 각성과 행동을 촉구하는 선언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