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10년전 ‘대학 신문은 과연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하는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 본 적이 있다. 당시는 학원민주화 운동에 대한 통제방안으로 학원안정법이 등장할만큼 5공화국의 서슬이 퍼런 상황이었다. 대학신문은 그런 상황아래서 대학의 저항을 상징하는 역할을 했다.

따라서 정부와 언론으로부터 좌경용공신문이란 낙인이 찍혔고 보직교수들로부터는 탄압의 대상이었다. 반대로 그런 사명을 다하지 못한 일부 대학신문은 학생들로부터 어용이라는 공격을 받기도 했다.

그런 양자의 비판속에서도 대학 언론은 알릴 것은 알려야한다는 소명의식으로 버텼다. 신문을 만들 때마다 주간교수의 ‘OK 사인’을 받기 위해 승강이를 벌여야 했다. 3년동안 그 지겨운 과정을 반복한 뒤 마지막 대학 신문을 만들면서 10년 뒤의 대학 신문은 어떻게 변해있을까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 적어도 편집권 문제만큼은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생각을 했다.

세월이 흘러 10년이 지났다. 5공화국은 6공화국으로, 다시 문민정부로 변화했다. 그러나 대학 신문은 여전히 편집권에 대해서 간섭하려는 학교와 정부의 집요한 공작아래 놓여있다. 주간 교수는 고유권한을 내세우며 편집권을 쥐려한다. 학생들은 이에 맞서 싸운다. 이런 악순환을 보면서 10년동안 변한 것은 하나도 없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지난호 미디어오늘에서 내가 몸담고 있던 대학 신문에서도 편집권 문제때문에 신문이 나오지 못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그 기사를 보면서 과연 대학은 진보하고 있는가 하는 회의가 들었다.

누구보다도 우리사회 민주화를 위해서 기여한 바가 많다고 생각하는 대학이 정작 그 내부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사회의 다른 어느 부분보다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학 신문은 대학인의 신문이다. 그리고 그 편집권은 편집권을 지키고 대학인의 입장을 올바르게 대변하려 노력한 사람의 것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과거 정권의 강압에 무릎꿇어왔던 그런 신문이 언제든지 부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 언론의 편집권을 지켜온 것이 학생들이라면 대학 당국은 마땅히 그러한 사실을 존중해 편집권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10년뒤에도 비슷한 소식을 듣고 고민에 빠지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