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사는 단순히 정보만을 전달하면 되는 것일까. 경제적인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경제 기사야 말로 기자들의 적극적인 가치판단이 요구되는 것은 아닌가. 신문과 방송의 경제 기사는 재벌과 대기업등 이른바 경제적 우위집단의 편에서만 보도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문화일보노조 공정보도위원회(위원장 민병두)는 최근 발행한 공정보도소식지에서 경제기사 작성과 관련, 이런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기자들에게 경제기사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해 눈길을 끌고 있다.

공보위 소식지는 <경제기사는 이렇게>라는 제하의 제안에서 경제 정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각 신문들이 앞다퉈 경제면을 증편하는등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독자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데 비중을 두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비판기능은 약화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묻게 된다고 자문하고 있다. 정보량의 양적 증가 속에서 자칫 ‘정보의 함정’에 빠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잇다는 지적인 셈이다.

공보위 소식지는 경제기사야말로 기자들의 적극적인 개입과 판단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누구의 입장에서 설 것인가가 경제기사의 방향을 좌우한다고 전제하고 경제기사를 쓸 때 기자는 먼저 어떤 입장에 설 것인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 다음 미시적으로 계층적 이해관계를 꼼꼼히 따져봐야 할 문제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농산물 수입은 도시서민에게는 유리하지만 농민에게 불리하다. 또 미국산 자동차 수입을 확대하는 것이 전자산업의 대미수출에는 도움을 준다. 이처럼 사안마다 각 경제주체의 이해가 엇갈리는 문제에 대해서는 경제 전체의 이해를 고려하는 균형있는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지만 한편으론 신문사마다 어떤 계층의 이해를 반영할 것인지 먼저 큰 틀에서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왜냐하면 상충하는 이해관계 속에서 중립지대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공보위 소식지는 각 신문의 경제면을 분석해 눈길을 끌고 있기도 한다. 문화 공보위의 분석에 따르면 J신문은 정부정책기사를 최소화하고 기업의 움직임을 자세히 보도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 신문이 중소기업과 소비자의 이해를 대변하려고 노력하고 정부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지만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는 거의 없다고 꼬집고 있다.

또 하나의 유력지인 경우에는 정부정책을 비중있게 다루는 반면 독자적인 기획기사는 적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 신문 역시 중소상인이나 농민들의 이해를 비교적 많이 반영하는 편이지만 영세민등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은 적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처럼 경제기사가 영세민을 배제하고 중소기업가나 중소상인, 도시 샐러리맨의 입장에 서 있는 것은 비단 이들 신문만에 국한되는 일은 아니다. 대다수 신문들의 경제면 또한 이들 신문과 크게 다를 바 없다.

왜 그럴까 하는 문제제기에 대해 문화노조 공보위는 먼저 비판기능 보다는 정보기능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편집방향과 폭주하는 정보량을 담아내기엔 역부족인 제한된 지면의 문제등을 짚고 있다.
그러나 비단 이러한 문제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공보위가 앞서 지적한 것처럼 ‘어느 편에 서서 문제를 볼 것인가’하는 점이 보다 근본적으로 고려돼야 할 것이다. 경제적으로 힘있는 집단이 지배하고 있는 정보유통의 구조도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소외계층의 문제는 사건 사고 기사로나 대접받는 우리 현실에서 문화 공보위가 종합지 경제면은 “사회 전체를 경제라는 프리즘으로 조망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선 것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아 보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