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최근 무료 전화통화가 가능한 모바일인터넷전화(mVolP) 서비스를 사실상 차단하면서 자사의 스마트폰 사용자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KT는 지난 6일 mVolP 서비스를 허용한다는 내용의 공지를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스마트폰 이용 고객들의 이용 편의성 증대 및 요금경감 혜택을 확대하기 위한 취지로 mVolP를 허용하게 됐다는 것이다. KT는 5만5000원 이상 무제한 무선데이터요금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 등급에 따라 mVolP 서비스를 750~3000MB 까지 허용한다고 밝혔다.

겉으로는 KT가 이용자들을 위해 선심을 쓴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정반대다. KT는 그동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mVolP 사용을 묵인해왔다. 사실상 스마트폰 이용자라면 아무런 제한 없이 무료통화를 이용할 수 있었다는 말이다. 결국 KT의 mVolP 허용방침은 지금까지 무제한 통화가 가능했던 무제한요금제 이용자들의 사용량을 제한하고, 그 이하의 요금제 이용자들은 아예 사용하지 못하도록 차단한 조치였던 셈이다. KT 고객센터에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비난전화가 쇄도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의문점은 KT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거센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mVolP 서비스 차단에 적극적인 입장으로 선회했는가라는 것이다. KT는 적극적인 해명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일단 표면적으로는 데이터트래픽 급증으로 다른 사용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간다는 이유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mVolP가 유발하는 데이터트래픽은 넘쳐나는 동영상 서비스들에 비하면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KT 자료에서도 mVolP 트래픽은 미미한 수준이다.

한 통신업계 전문가는 “KT가 mVolP 서비스를 제한한 것은 트래픽 문제보다는 수익적인 문제와 심리적 문제가 결합돼 나타난 현상”이라고 풀이했다. 이동통신사의 주수익은 아직까지 음성통화에서 발생하는데 mVolP가 일반화되면 수익악화가 우려되는데다 ‘우리가 망을 깔아놨더니 신규업체가 무임승차를 하려고 한다’는 불만이 mVolP 차단으로 표출된 것이라는 얘기다. 이런 추세는 세계적으로도 비슷해 2007년 영국의 오렌지와 보다폰이 스마트폰에서 VolP 기능을 삭제했고 미국의 버라이즌, AT&T 등도 유사한 입장을 취했다.

문제는 이동통신사들의 서비스 제한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미 음성통화시장의 세계적 흐름은 기술발전과 더불어 mVolP 쪽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사들의 인식변화가 요구된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mVolP가 기존의 수익마진을 잠식하는 경쟁적 서비스가 아니라 수익성을 가져다주는 새로운 시장으로 인식하라는 것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김욱준 연구원은 무선랜 커버리지가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유무선 통합기반의 mVolP 혹은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소비자의 효용을 파악하고 대응해야 가입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 말을 뒤집어보면 KT가 왜 비난을 감수하면서 mVolP를 차단하고 나섰는지에 대한 제3의 답이 나온다. KT가 mVolP를 차단한 것은 이 부문에서 아직 경쟁에 나설 준비가 덜 돼 있다는 것이고, KT가 이 서비스를 완전 개방할 시점은 그 준비가 모두 끝난 뒤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