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서울 정상회의가 뚜렷한 성과 없이 마무리 됐다. G20 정상들은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회의에서 당초 지난달 경주 재무장관회의에서 합의했던 시장 결정적 환율제도로 이행하는데 원만하게 합의했지만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자는 제안에는 이견을 좁히지 못했고 결국 내년 프랑스에서 열릴 정상회의로 과제를 넘겼다. 결과적으로 경주 재무장관회의 보다 한 단계 후퇴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번 G20 정상회의의 최대 수혜자는 중국과 독일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위안화 절상 압력에 맞서 원론적인 수준의 합의에 그치도록 했고 독일은 경상수지 가이드라인 도입을 다음 회의로 미루는데 성공했다. 프랑스 역시 금융거래세 등 강력한 금융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해 다음 회의 의장국으로서 영향력을 과시하는데 성공했다. 브라질 역시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를 강력히 비판하면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 이명박 대통령이 11일 저녁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G20 서울 정상회의 업무 만찬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 간 나오토 일본 총리. 연합뉴스.  
 
그러나 미국은 국제 사회의 온갖 비난에 직면했을 뿐 아무런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 경제가 살아야 세계 경제가 산다"는 절박한 메시지를 던지면서 국제 공조를 재촉했지만 국제 사회의 반응은 냉담했다. 게다가 G20 정상회의 직전에 타결될 걸로 기대했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도 결국 결렬됐다. 가뜩이나 중간선거에서 실패해 정치적 입지가 좁아진 오바마 대통령은 결국 빈손으로 돌아가게 됐다.

우리나라는 G20 의장국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고 자평하고 있지만 환율전쟁을 종식시키는데 주도적으로 기여하고 서울 선언을 세계 경제사에 남을 중요한 사건으로 만들겠다는 당초 목표에는 크게 미치지 못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미국의 충실한 대리인 역할을 하는데 그쳤고 금융위기의 재발을 막고 선진국과 신흥국의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 결성된 G20 정상회의의 취지를 제대로 끌어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게 됐다.

단군 이래 최대의 행사라며 떠들썩한 홍보 공세를 펼친 걸 비롯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게 하거나 분뇨 처리 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고 행사장 주변의 교통을 전면 통제하는 등 일과성 이벤트에 필요 이상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여론을 호도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합법적인 집회와 시위를 억압하고 국제 비정부 기구 관계자들의 입국을 제한하는 등 진행과정에서 보여준 모습도 국격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