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이 느끼는 현재의 ‘언론 자유정도’(5.9점)가 노태우 정부(89년 조사 6.2점) 때보다도 못하다는 평가는 상당히 충격적이다.

또 이같은 평가는 김영삼 정부 출범 첫해에 이뤄진 조사결과(93년 조사 7.0점)에 비해서 눈에 띄게 낮아진 것으로 기자들은 김영삼 정부의 언론 정책에 점차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자들은 각정권별 언론자유 정도를 묻는 질문엔 김영삼 정부(5.92점)를 노태우(4.55점), 전두환(2.98점) 정부 때보다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했다. 이렇듯 서로 모순되는 결과가 나온 것은 후자의 질문이 정권의 성격에 대한 평가가 개입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총체적인 언론자유 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정권의 성격외에도 언론의 상황 변화에 따른 취재활동 등에서의 제약이나 사내 간부진들에 의한 간섭의 정도 등이 전반적으로 고려됐다는 점과 기자들의 언론자유 신장에 대한 기대수준이 그만큼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한 단면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항목에 대한 결과를 역대 정권의 언론 정책에 대한 평가로 직접 연결하는데는 다소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6공 시절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는 사실은 주목을 요하는 대목이다.

기자들 대다수(83.0%)가 언론의 상업주의 심화와 경언유착을 우려, 재벌기업의 언론사 소유를 반대하고 광고주들이 공정한 기사의 제공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는 지적은 권력의 직접 통제가 적어진 틈새를 비집고 들어온 ‘자본의 간섭’이 언론의 자유를 더욱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는 현실 인식의 반영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보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집단’ ‘직업만족도’ ‘촌지수수’ 문제 등에 대해서도 몇가지 주목할 만한 결과가 나왔다.

취재와 보도과정에 대한 평가에서 기자들은 기사의 선택과 수정과정에서 데스크(68.4%)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국장급(11.4%), 사주 및 경영진(10.4%)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평소에 기사를 쓸 때엔 독자와 시청자를 의식한다는 응답자가 62.7%로 가장 많았으며 편집국 간부(15.7%)나 경영진(1.6%)에 대한 의식은 상대적으로 적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의 직업만족도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으며 전직을 고려하는 기자들도 갈수록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93년 조사에서 ‘불만’(매우, 조금 포함)이라고 응답한 기자가 23.9%였으나 이번 조사에선 28.4%가 불만족스럽다고 응답, 만족도가 5% 정도 하락했음을 보여줬다.

이같은 의식을 반영하듯 전직을 고려하는 기자들이 지난 91년 10.9%에 불과했던 것이 93년(16.7%)을 거쳐 올해 들어선 2배 이상 늘어난 23.4%로 나타났다.

한편 직위가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부장급 이상은 81.8%, 차장급 76.2%, 평기자 68.5%가 기자직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91년 조사에서 ‘있다’(약간, 많은 편, 매우 포함)는 응답자가 96.3%에 달했던 ‘촌지’문제는 이번 조사에서 73.6%의 기자만이 같은 응답을 해 상당히 개선된 모습을 보여줬다.

촌지를 받는 이유는 ‘관행’(58.8%)이 압도적이었으며 긍정적인 내용의 보도를 부탁하거나 부정적인 내용의 보도를 생략하거나 삭제해 달라는 요구와 함께 받게 된다는 응답이 각각 27.6%와 8.1%였다.
한편 조사에 응한 기자들은 현재 언론의 자유와 책임 가운데 어떤 측면이 더 강조돼야 하느냐는 질문엔 자유(32.9%)보다는 책임(67.1%)이 더 강조돼야 한다고 꼽았다.

기자들은 또 언론이 군사정부 시절 이래 현정부에 이르기 까지 사회민주화 과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16.7%)고 생각하기 보다는 대부분(83.3%) ‘편승했다’고 평가했다.

언론인 재교육과 관련해선 10명중 7명정도(69.7%)가 ‘받은적 없다’고 응답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