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 전문 인터넷 신문 블로터닷넷이 지난 4월 제한적 본인 확인제에 반발해 댓글을 폐지한데 이어 소셜 댓글 서비스를 전격 도입했다. 제한적 본인 확인제, 이른바 인터넷 실명제란 하루 방문자 10만명 이상인 인터넷 사이트에 실명 인증을 의무화한 제도다. 현재 미디어오늘 등이 헌법 소원을 제기해 놓고 있다. 블로터닷넷은 지난달 19일 “제한적 본인 확인제의 해법으로 소셜 댓글 베타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블로터닷넷은 댓글을 닫아둔 상태로 트위터와 미투데이, 페이스북 등을 통해 의견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인터넷 실명제를 우회한 새로운 댓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역시 하루 방문자 10만 명 이상의 인터넷 사이트지만,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기 때문에 본인 확인을 할 필요가 없다. 블로터닷넷 이희욱 기자 역시 “이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타고 블로터닷넷에 들어온 의견은 엄밀히 말하면 인터넷 실명제에서 비껴난 글”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기자는 “인터넷 실명제의 효용성을 주장하는 쪽에서 내세우는 대표 논리는 ‘악플과 사이버 범죄 예방’이지만 현실은 정반대”라면서 “실명제가 적용되지 않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에서 악플이나 사이버 범죄가 난무하기는커녕 장난기나 악의적 공격이 담긴 글도 찾아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기사에 대한 본인 생각이나 의견을 진지하게 개진한 글들이 대부분이라는 이야기다. 블로터닷넷은 소셜 댓글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김상범 블로터닷넷 대표는 이를 사회적 본인 확인제라는 이름으로 설명한다. 김 대표는 “트위터에서는 주민등록번호로 신분을 확인하지는 않지만, 느슨한 본인 확인 문화가 이미 퍼져 있다”고 지적한다. 김 대표는 “트위터에서는 유용하고 알찬 소식을 남들보다 빠르고 정확히 전달해주는 이용자가 더 큰 영향력을 갖게 되고, 휘발성 농담이나 인신 공격성 글, 비아냥과 냉소로 일관하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외면당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 블로터닷넷의 소셜댓글 서비스 안내글.  
 
한편 블로터닷넷의 소셜 댓글 서비스는 자연스럽게 소셜 네트워크를 강화해서 소통을 활성화하고 트래픽 유입을 늘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블로터닷넷에 의견을 남기면 트위터나 페이스북 계정에도 동시에 글이 올라가고, 트위터 팔로워와 페이스북 친구들에게 블로터닷넷의 기사를 추천하게 된다. 블로터닷넷 도안구 기자는 “장기적으로 포털 의존도를 줄이는 대안으로 소셜 네트워크를 계속 강화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