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독도 발언을 둘러싼 의혹은 ‘광우병 정국’으로 뜨거웠던 지난 2008년 7월15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7월9일 일본 홋카이도에서 열린 G8 정상회담에 참여했던 이명박 대통령이 후쿠다 당시 일본 총리와 비공식 대화를 나누면서 문제의 ‘독도 발언’을 했다는 보도를 15일자로 전했다.

일본 총리가 교과서 해설서에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표현) 표기를 명기하겠다는 뜻을 밝히자 이 대통령이 “지금은 곤란하다. 기다려달라”라고 말했다는 의혹은 당시에도 정치권의 뜨거운 쟁점이었다. 언론은 당시 논란을 비중 있게 다뤘다. 청와대는 펄쩍 뛰었고, 일본 정부도 보도를 부인했다. 한일 양국 정상의 대화 내용이 어떤 경로로 요미우리신문에 보도됐는지 의문도 증폭됐다. 언론플레이 논란까지 벌어졌던 당시 사건은 뚜렷한 결론 없이 흐지부지 됐다.

언론도 정부도 잊고 지냈던 이슈는 일부 누리꾼을 중심으로 한 국민소송단의 법적 대응으로 번지면서 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오는 17일 서울중앙지법의 변론기일을 앞두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낸 서면답변이 국민일보 3월10일자 2면에 <요미우리 “MB 독도발언 허위보도 아니다”>라는 제목으로 실린다는 소식이 3월9일 저녁 알려졌다.

이날 미디어다음에 국민일보 기사가 주요 뉴스로 처리되고 미디어오늘 등 다른 언론이 국민일보 기사를 인용 보도하면서 논란은 확산됐다. 누리꾼의 폭발적인 관심으로 이어진 배경은 청와대가 국민 신뢰를 얻지 못하는 현실도 반영하고 있다.

청와대가 2년 전 밝혔던 해명보다는 요미우리신문의 “오보가 아니다”라는 주장에 무게를 싣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청와대는 적극적이고 분명한 설명과 대응을 통해 무너진 신뢰를 회복해야 했지만 무대응 전략으로 나섰다.

주요 방송사와 신문사 등 언론 역시 독도 논란을 보도하지 않으면서 이명박 정부 ‘언론 장악’이 현실화 됐다는 누리꾼들의 반응으로 이어졌다. 언론의 무관심은 ‘거대한 비밀’을 감추고 있다는 의혹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됐다. 국민일보를 제외하면 주요 신문과 방송은 사실상 침묵으로 일관했지만, 일부 언론이 관심을 보이기는 했다.

경향신문은 11일자 30면 김철웅 논설실장의 <독도 발언>이라는 칼럼을 통해 처음으로 이번 논란을 다뤘으며, 16일자 6면에 관련기사를 실었다. 경향신문 보도 역시 뒤늦은 감이 있지만,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은 다른 언론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서울신문은 16일자 17면에 실린 도쿄 특파원 칼럼을 통해 독도 논란을 살짝 언급하는 수준이었다.

독도 문제는 국민의 뜨거운 관심사를 부를 수 있는 휘발성이 강한 사안이다. 누리꾼들이 쟁점으로 부각시키면서 정치권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민주노동당과 민주당 대변인단의 관련 논평이 나왔고, 민주당 전병헌 이종걸 의원 등이 자신의 견해를 밝히면서 관심을 모았다. 정미경 한나라당 대변인은 지난 14일 첫 번째 논평을 발표했고, 여야의 공방으로 번졌다. 송영길 민주당 최고위원과 이종걸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장 등은 16일 요미우리신문 보도와 관련한 국민소송단 대표와 잇달아 만나는 등 이번 논란은 정치적 쟁점으로 떠올랐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