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관련 전문지 기자들의 취재 여건 개선과 노동 관련정보의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지요”

지난달 27일 창립 1주년을 맞은 노동전문기자회의 설립 목적을 배수남회장(35·중앙경제사 편집팀장)은 이렇게 설명했다. 노동전문기자회에는 현재 10개 노동관련 주월간지의 기자 30여명이 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노동전문기자회는 28일 노동연구원 10층에서 창립1주년 기념식을 갖고 ‘노동분야 취재및 정보유통활성화에 대한 제언’을 발표했다. 노동계의 정보유통 활성화를 위해서 노조단체를 비롯해 정부기관, 경제단체 등의 최소한의 취재 편의제공과 협조를 당부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노동전문기자들이 ‘제언’을 통해 노동정보 유통의 활성화를 위해 처방을 내놓은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주월간지 전문지 기자들이 항상 뼈저리게 느끼는 어려움은 일간지, 대형 언론사 중심의 취재 환경이지요. 관공서의 경우 일간, 방송기자들에 대한 취재 협조는 이미 관행화됐지만 주월간 전문기자들에 대해서는 아직도 요원한 실정입니다.”

배회장 역시 취재 경험을 통해 이같은 ‘벽’에 부딪힌 것이 한두번이 아니다. 과거 주월간 전문기자들을 무턱대고 ‘사이비’로 치부하던 외부의 눈길이 완전히 불식됐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노동전문기자회는 이에 ‘공동취재, 공동조사’를 통한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다. 개별적인 개선 노력보다는 집단적 대응이 효과적이란 판단이다. 실제 노동전문기자회는 지난달 24일 근로복지공단 설립 1주년을 기념해 박홍섭 이사장을 공동 인터뷰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노사개혁위원회가 구성되고 노동법 개정 논의가 본격화될 것에 대비 노사정의 책임있는 간부를 초청해 각자의 입장을 청취하는 기자간담회를 준비 중이기도 하다. 노동법 개정과 관련해서는 노조, 정부기관, 경제계 등을 상대로 한 광범위한 공동 설문조사 작업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본다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이렇듯 노동전문기자회가 공동취재, 공동조사 등을 주요한 사업계획으로 잡고 있는 것은 전문지 기자들의 정체성과 관련돼 있기도 하다는 것이 배회장의 설명이다.

일간지나 종합매체들의 기자들은 매체의 성격상 노동관련 정보를 종합 정보의 일부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지만 노동전문지 기자들은 정보 전달자라는 기능뿐 아니라 자신이 노동현장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강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배회장에게 안타까움으로 남는 것이 있다. 대부분 주월간의 경영상태가 영세하기 때문에 기자들의 근로 조건 역시 상당히 열악한 편이다. “뜻을 품고 노동전문기자의 길에 들어섰던 후배들이 언제부턴가 눈에 안띌 때 가장 괴롭다”고 배회장은 털어 놓았다.

배회장 역시 9년째 노동전문기자 생활을 하고 있지만 이미 3개 주간지를 거쳤고 그가운데 한 주간지는 90년에 문을 닫아야 했다.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목적의식’이 분명한 기자들이 많다는 점이 노동전문기자가 발족될 수 있었던 동력이었던 만큼 이같은 목적의식을 제대로 살릴수 있도록 앞장설 ‘각오’라는게 배회장의 다짐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