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두건의 조선(북한) 관련 보도가 정부의 언론플레이 의혹및 사실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을 빚었다.
조선(북한)이 지난 1월달 서방 보험회사에서 1천억원 가량의 흉작보험금을 지급받은 사실이 뒤늦게 보도된 것과 관련, UN 인도지원국(UNDHA)등 국제기구의 대북 지원 움직임에 제동을 걸기위한 정부의 언론플레이가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다. 또 경향신문이 지난 7일자에 단독 보도한 조선노동당 최준덕씨의 한국망명 보도는 보도내용의 사실여부가 의문시되고 있다.

북한 흉작보험금 수령 보도

조선(북한)이 지난 1월달 1천억원 가량의 흉작보험금을 받았다는 기사가 지난 8일과 9일 일제히 보도된 것과 관련해 정부가 대북 쌀지원문제를 두고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된 것. 정부가 썩 달가와 하지 않던 대북 쌀지원 문제가 국제사회의 압력을 받음과 동시에 정책 방향을 지원쪽으로 전환하면서 국민들과 국제사회에 대해 견제구를 던진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다. 이런 의심은 조선(북한)이 흉작보험금을 받았던 시기가 지난 1월달인데 이제와서 갑작스레 알려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 기사를 6일 오전 처음 보도한 연합통신의 이우탁 기자는 “국내에 진출해 있는 외국보험회사 관계자를 통해 전부터 알고 있던 사실을 오랜 추적끝에 이번에 알아낸 것”으로“정부가 흘린 정보를 받은 것이 아니”라고 강력 부인하고 있다.

이 기자는 “취재할 때만 해도 정부에서 확인해주는 사람이 없었으며 정부 당국자들도 보험업계를 통해 조사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밝히고 있다. 1차 보도 이후 7일 확인 취재에 들어갔을 때 정부 관계자는 “3시간전쯤에 조사가 끝났다”며 “보험금액및 재보험 가입사 8개사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언론들은 정부의 언론 플레이설에 의혹의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다. 이같은 의혹은 정부 관계자들이 사전에 이같은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외무부 특수정책과의 이수택 과장은 “북한이 보험을 들었다는 것은 사전에 알고 있었다”고 말해 이같은 정황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조선(북한)이 보험금을 시급한 식량구입에 사용하지 않은 것 같다는 정부 관계자의 후속 발언들 또한 정부의 언론플레이설을 뒷받침하는 또다른 정황증거로 열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첫 보도한 연합통신 이 기자의 취재경위대로라면 정부 관계자들의 이같은 발언은 당연히 알고 있었어야 할 정보를 뒤늦게 확인하게 된데 대한 ‘면책성 언론플레이’일 가능성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노동당 최준덕 부부장 망명보도

지난 6월7일자 경향신문이 1면 톱기사인 조선(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직속부 부부장 최준덕씨의 한국 망명 보도는 보도 내용의 사실 여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보도가 나간 직후 안기부가 보도내용이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경향신문에 정정보도를 요구하고 나선 반면 경향신문과 이 기사를 쓴 기자는 “근거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향신문은 ‘북노동당 부부장 망명’이란 제목하에 “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직속부 부부장 최준덕씨(59)가 지난 3월22일 극비리에 한국에 귀순, 망명했다”고 보도했다. 또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빌려 “최씨는 지금까지의 귀순자중 최고위층”이며 “현재 관계당국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기사가 나간 지난 7일 국가안전기획부는 이례적으로 이를 강력히 부인하며 각 언론사에 경향신문의 보도내용이 사실이 아니라는 요지의 보도자료를 보낸후 경향신문에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안기부 관계자는 이 기사의 사실여부에 대해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반면 이 기사를 쓴 경향신문 강호식 기자(사회부)는 “후속 보도를 통해 사실을 입증할 것”이라며 “밝힐 수는 없으나 정통한 소식통에 근거한 기사”라고 안기부측의 부인을 반박하고 있다.

한편 경향신문은 지난 8일 안기부가 정정보도를 요구한데 대해 1면에 “안기부가 정정보도를 요구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내보냈다.

경향신문과 안기부 중 누가 ‘사실을 말하고 있는지’는 시간은 걸리더라도 분명하게 밝혀질 것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그 결과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