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있는 공보관의 요건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책자가 있다. 지난 93년 공보처에서 펴낸 ‘공보업무의 이론과 실제’(부제 ‘유능한 공보관이 되려면’)가 그것이다. 이 책은 현재 3쇄까지 발행할 정도로 관계를 비롯한 홍보 실무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금까지 발행부수는 대략 1만7천부. 아직도 국영기업체나 민간기업에서 구입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총 1백 95쪽인 이 책자는 언론학자들과 공보처에서 수집한 각 공보관들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현재 언론계와 관계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는 현안과 대책이 체계적으로 나열돼 있다.

이 책은 그간의 정부 홍보,공보 업무의 문제점으로 △분명치 않은 홍보 목표 △홍보에 대한 전문지식의 부족 △홍보, 공보 요원의 내부 자문 역할 미약 △지나치게 비중이 큰 보도활동 △공보활동 평가에서 일반시민의 반응 배제 △경성뉴스에 한정된 대중매체 이용 △여론 파악 기능 미약 △미흡한 조사연구 활동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처방전은 다각적이다. 무엇보다 홍보, 공보 인력의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연수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전문가 초청강연, 사례집, 공보 지침서 발간등을 실천 방법으로 소개했다.

비단 이것 뿐만 아니다. 외부 자문을 활성화 시키는 한편 치밀한 홍보, 공보 계획의 수립, 기획기사 활용 등 대중 매체에 더 적극적인 정보를 제공하라고 당부했다. 또 자체매체 발간, 정보센터 운영, 실적위주 평가에서 효과위주의 평가로 전환, 안보고는 견딜수 없도록 메시지의 내용을 고급화시키라는 등 세세한 지침을 내놓았다.

5장 공보업무의 일반수칙을 통해 언론매체나 오보에 대한 대응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시해 놓은 부분은 기자들에게도 유용하다. 이 책은 언론인과의 접촉시에는 기사를 구걸하거나 그들의 비판을 두려워마라며 금기사항으로 △거짓말 △불필요한 비밀주의 △언론인에 대한 적대적인 감정 △기자와의 논쟁 △제목·사진등을 둘러싸고 기자를 비난하는 것 등을 꼽았다.

오보가 나왔을 때는 출입기자를 찾아 진실을 설명하라는 식의 지극히 당연한 수칙에서부터 △오보의 종류에 따라 대응방법이 달라야 할 것 △오보 시정이 어려울 때는 반론이 함께 보도될 수 있도록 할 것 △오보가 설혹 바로 잡힌다해도 타 매체에 보도되면 아무런 소득이 없다 △시정조치와 법적 대응은 별개의 것으로 생각할 것 등 단계별 지침을 열거해 놓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