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보처에서 집계한 각 부처 공보관(대변인)은 39명. 각 시도 공보관까지 합치면 모두 54명에 달한다.

직급은 다소 차이가 있다. 총리실을 비롯한 감사원, 통일원, 외무, 내무, 법무, 노동, 국방부, 공보처가 일반 행정부처 국장급(2급)에 해당하는 이사관들이다. 이에 비해 재정경제원, 통산부, 농수산부, 정보통신부 등 경제부처들과 환경처, 과기처, 보훈처, 총무처, 법제처 등은 공무원 직제상 3급에 해당하는 부이사관들이 맡고 있다.

청 단위는 이보다 한급 아래인 4급 서기관들이 대부분이다. 대검은 부장검사, 경찰청은 경무관이 임명된다. 이들은 감사실과 함께 장관이나 청장의 직할 조직으로 분류된다. 업무의 특성상 해당 기관 장과의 면담이 많아 대체적으로 공보관직을 떠날때에는 최소한 ‘물’은 먹지 않는 것이 관례적이다. 민선자치단체가 출범한 이후 각 시도 공보관은 시장이 중앙정부의 동의를 얻지 않고 직권으로 인사발령을 내릴 수 있는 몇안되는 자리중의 하나이다.

각 부처 공보관들은 80년대 이전까지만해도 과장급에 해당하는 실무형 인사들이 포진했다. 특히 언론인 출신들이 거의 독점하다시피 했다. 언론인에서 관직으로 변신하는 경우 십중팔구 첫 번째 보직이 각 부처 대변인자리였다. 정권 핵심부와 친분이 두터운 공보관들의 힘도 막강했다.

80년 신군부세력이 득세할때는 상당수의 기자들이 공보관의 주선으로 보다 근무 여건이 나은 언론사로 자리를 옮길 정도였다. 이같은 관행은 5공까지 지속되다 6공에 들어서는 행정관료들이 자리를 맡고 있다. 관직에 입문하는 언론인들이 현저히 줄어든데다 내부승진이 가능한 한 자리라도 더 확보해두려는 공직 사회의 특성이 이러한 관행이 줄어드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공보관은 그 어느자리보다 ‘성격’이 중요하다. 내성적이거나 지나치게 독선적인 스타일은 공보관 업무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 까다로운 기자들을 매일 대하는데다 아무래도 ‘아쉬운 소리’를 많이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성격과 함께 나이를 중시하는 추세다.

출입처에서 활동하는 기자들과 너무 연령 차이가 나 지나치게 세대차이를 느끼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기자들의 평이 좋았던 공보관들은 간혹 기자들이 인사과정에서 밀어주는 경우도 있다. 현재 모부처 차관은 공보관실에 근무하다 다른 자리로 옮길 때 기자들이 발 벗고 나서 ‘요직’으로 앉히는 등 공직기간내내 기자들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기는 대중 없다. 대체적으로 1년에서 2년까지 재직한다. 외무부나 법무부 등 내부 순환이 잦은 부처는 대체적으로 임기가 짧다. 이에 비해 국방부의 윤창로 공보관이나 노동부 박길상 공보관은 공보관 자리를 떠났다가 다시 부임한 경우다. 국방부의 윤 공보관은 안보, 통일부처로는 드물게 정례 브리핑을 정착 시키기도 했다.

이들은 속칭 ‘전대협’(전국대변인협의회) 회의를 매달 공보처 주관으로 가진다. 1년에 두차례씩 세미나도 연다. 이 자리에서 각 부처 정보교환이나 기자들 품평, 정부홍보 방향등을 논의한다.

이들이 가장 우선시하는 기자 판단 기준은 ‘전문성’ 유무이다. 해당 부처의 업무나 정책에 깊이 있는 지식을 가진 기자들을 선호하고 ‘아는 것은 없이 어깨에 힘만 주는 기자’를 가장 싫어한다. 기자들에 대한 대체적인 감정은 ‘불쌍하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한 공보관은 “매일 얼굴 대하면서도 마음속엔 동료들을 물 먹이려는 경쟁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기자들의 숙명이 간혹 애절하게 다가올 때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