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오폐수 문제가 언론의 집중 보도 대상이 되고 있는 가운데 경남지역에선 광양 지정폐기물 매립장 건설 문제가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

광양 지정폐기물 매립장 건설은 지난해 5월 이미 1단계 공사에 들어가 현재 전체 공정의 75%가 진행된 상태다(경남신문 7월 20일 19면). 이에 대한 광양주민들의 반대운동도 거세다. 지난해 5월 매립장 건설계획이 알려지자 광양지역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저지 운동에 들어갔으며 매립장이 건설될 경우 그곳에서 흘러나오는 오폐수등으로 생계를 위협받게될 남해 인근 지역 주민들과 하동지역 주민들도 저지운동에 가세하고 있다. (경남신문 7월 2일 19면, 7월 23일 사설, 경남매일 7월 20일 2면)
이를 보도하는 지역언론들의 보도태도는 매우 격렬하다.

제목만 보더라도 “청정바다 죽일 셈인가”(경남신문 7월20일 19면), “중금속 인한 기형아 출산등 우려”(경남매일 7월20일 2면), “남해 청정해역 죽음 부른다”(경남매일 7월22일 19면) 등 문제의 심각성을 충격적으로 전하고 있다.

그렇다면 문제는 이들 신문들이 그동안 도대체 무얼 하고 있었는지 하는 점이다. 대책위원회가 꾸려져 그동안 숱하게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외면해왔던 것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사화호문제가 전국적인 쟁점이 되고 있는 가운데 광양매립지 문제가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표면화되자 뒤늦게 거들고 나선 꼴이다. 더욱 큰 문제는 뒤늦게 이를 보도하면서도 이를 매립지 건설 추진측과 주민들의 공방으로만 처리하고 있는 보도태도이다.

“뻘중 15m 연약지반으로…하자없는 시공을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침출수가 바다로 유출”돼 “청정해역이 죽음의 바다로 변하고 말 것”(경남신문 7월20일 19면)/ “특정폐기물 매립장은 섬진강과 광양만이 만나는 연약지반에 설립되는 것은 상식밖의 입지선정으로 이를 막지 못하면 중금속 오염으로 인한 기형아 출산 등이 우려된다”(경남매일 7월20일 2면, 경남신문 7월22일 2면)며 “무엇보다 주민들을 분노케하는 것은…행정기관에서 밀실협의에 의하여 추진되었다는 점”(경남매일 7월23일 사설)이라고 매섭게 꼬집고 있으나 신문의 독자적인 심층취재나 분석기사등은 찾아보기 힘들다. “시설을 완벽하게 하고 중간처리된 지정폐기물만을 매립, 바다 오염을 없도록 하겠다”(경남신문 7, 23, 19면)는 환경
관리공단의 해명을 역시 중계방송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이들 신문들이 내놓은 처방도 지극히 두리뭉실한 것이다.

“환경당국은 지정 폐기물 매립장 조성에 대한 현명한 해명과 특별한 대책이 있길 바란다”(경남신문 7월23일 사설)는 지극히 피상적인 주문이나 “환경부와 동광양시는 적절히 해명해야 한다”(경남매일 7월23일 사설)고 점잔을 빼고 있을 뿐이다.

환경 당국이 주장하는 것처럼 과연 공사의 안전도나마 확실하게 보장되는지, 바다오염의 피해는 과연 없겠는지를 주의 깊게 따져보는 기사는 아예 없었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릴 수밖에 없는 지역문제, 나아가 환경문제에 대해 그 당부를 철저하게 가려주는 것이야말로 언론이 그렇게 질타해마지 않는 님비(NIMBY)현상을 개선해나갈 수 있는 지름길이 아닐까를 생각해보게 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