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하나로텔레콤·LG데이콤·오픈IPTV가 방송통신위원회에 IPTV 제공사업자 허가 신청서를 내며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콘텐츠 수급 차질로 위성방송 등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스카이라이프(위성방송)와 TU미디어(위성DMB)는 개국 초 지상파 콘텐츠를 확보하지 못해 뉴미디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한 바 있다.

이런 이유 등으로 KT는 지상파 방송사와의 실시간 재전송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선 전송, 후 정산’을 하나의 해법으로 제시하며 다음달 IPTV 상용서비스 강행의지를 밝혔다. 그러나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 상 지상파가 IPTV 콘텐츠사업자로 신고·등록하거나 승인을 받지 않은 경우 실시간 재전송 자체가 불가능해 해법이 되긴 어렵다는 지적이다.

KT 윤경림 미디어본부장은 지난 1일 기자 간담회에서 “KBS2, MBC와 협상 중이나 차이가 너무 크다. 하지만 10월 중순 IPTV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10월 중순까지 협상을 타결 짓지 못하면 일단 재전송을 한 뒤 나중에 정산하는 것도 하나의 해법으로 언급했다.

그러나 한 지상파 방송사의 고위 관계자는 “법리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며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주요프로그램으로 고시할 것을 염두에 뒀는지 모르겠지만, 우리는 협상완료 전까지는 IPTV 콘텐츠사업자로 신고·등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KT가 디지털 안테나 제공을 통한 우회 재전송이라는 무리수도 두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KT는 의무전송채널인 KBS1과 EBS를 제외한 MBC, KBS2, SBS 등과 협상을 벌이고 있으나 전송료 차이가 워낙 커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상파와 함께 콘텐츠 수급의 ‘양대 산맥’인 CJ미디어, 온미디어 등 MPP(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도 IPTV 쪽에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방침이어서 IPTV제공사업자들은 난처한 상황이다.

지난달 28∼29일 IPTV 콘텐츠사업자로 등록한 곳은 지니프릭스(교육·게임·만화 등 3개), KMB네트워크, 기독교복음방송, 올리브나인(부가통신CP) 등 10개 사업자에 불과하다. 방통위는 IPTV 사업권 최초 부과일까지 등록 PP가 70개 미만일 경우 의무송출채널 70개를 채워야 한다는 조항은 적용하지 않을 예정이다.

한편 IPTV사업에 뛰어들 것으로 전망된 SO(종합유선방송사업자) 큐릭스는 IPTV지역사업자 신청을 잠정 보류했다. SO업체가 IPTV사업자로 등록하게 되면 PP업체가 SO의 경쟁자인 KT 등 대형 IPTV사업자 쪽에도 콘텐츠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큐릭스가 케이블TV협회를 중심으로 IPTV 전국사업자 면허획득 추진을 논의하기로 함에 따라 티브로드 등 다른 SO의 조기 합류도 불투명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