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환경관련 보도가 심층기획에서는 절대적인 부족 현상을 보이면서 단순 사건 중심의 표면적인 보도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언론연구원이 발행하는 9월호 신문과방송에서 문종대 동의대 교수(신문방송학과)는 환경관련보도가 ‘취재의 편의성과 뉴스의 상품성’ 때문에 환경파괴적인 사건에 대한 단순 보도에 집중돼 있으며 이 경우에도 주요 정보원이나 취재원이 공공기관으로, 발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결과적으로 표면적인 보도 이상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문 교수는 지난 6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한달동안 보도된 중앙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신문을 임의로 선택해 조사한 결과 심각한 환경사고가 발생했을때 그와 관계된 전문서적이나 논문등을 직접 확인해 문제의 본질을 알리려 하기보다 인터뷰등 임시방편적이고 단편적인 접근을 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환경사고 관련기업에 대한 취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은 취재의 편의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환경사고 기획기사에 대해서도 “여천공단의 경우 주로 주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취재한 반면 여천공단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에 대한 취재는 전무했다”면서 “여천공단 주변의 주민들에게 피해가 크다면 공단내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의 작업환경은 더욱 나쁜 상태일 것임에도 불구하고 취재가 전무했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라며 기획력 부족을 시급히 타개해야 한다는 시각을 보였다.

또 환경관련 기사가 환경친화적이거나 환경정화적인 사건보다 환경파괴적인 사건에 집중돼 있다며 이는 취재가 편하고 상품성 있는 뉴스를 선호하는 신문의 상업적 속성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이런 기사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피상적인 인식과 피해의식을 심어주고 환경문제에 대한 책임을 국가나 기업의 관리소홀, 법규위반, 공무원자질결여 등의 문제로 제한하는 보도태도를 보일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고 있으며 그 결과 “장기적인 대안보다는 단기적인 대안을 요구하는 쪽으로 몰아가기 쉽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