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협회는 지난 6일부터 7일까지 1박2일간 제주도의 한 호텔에서 신문판매 자율규정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가졌다. 제주도까지 나가 1박2일간 진행된 행사 가운데 자율규정안이 논의된 시간은 총 1시간 30분. 참석자는 중앙일간지 판매국 간부, 학계인사 5~6명, 그리고 시민단체 간부 2명 등이었다.

토론 시간의 대부분은 자사의 입장을 관철하기에 급급한 판매국 간부들의 설전으로 소모됐다. 그야말로 공중의 의견을 청취한다는 ‘공청회(公聽會)’라는 표현이 무색했다.

언론계는 신문전쟁을 겪으면서 신문협회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심각한 회의를 갖지 않을 수 없었다. 한마디로 신문협회는 무엇을 하는 곳인가라는 지적이다. 신문협회는 그동안 언론계에 사태가 발생할 때마다 이사회를 개최하는 등 수선을 떨었지만 결국 별다른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고 미봉책으로 일관했다. 그나마 이런 미봉책도 회원사에서 깨어버리기 일쑤였고 이에 대해 신문협회는 어떤 강제력도 발휘하지 못했다.

이번 신문협회가 추진중인 자율규정이 어떤 실효성을 가질지 벌써부터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번 자율규정에 대해 어느 신문사가 신문협회의 권위와 권한을 믿고 따를지 심지어 신문협회 내부조차 장담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신문협회는 적어도 이번 자율규정안만은 공중의 장에 토론을 부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공중의 장에 토론을 부치는 것은 여러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외부로부터도 관심과 동력을 이끌어내 보다 강력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언론학자들은 최근 미국과 일본 신문협회의 역할에 대해 자주 거론하고 있다. 판매정상화에 앞장서 결실을 거둔 일본 신문협회, 치열한 매체간의 살아남기 경쟁에서 신문의 활로를 모색하고 실천해온 미국 신문협회 등의 사례는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번 공청회를 지켜보면서 당분간은 우리 신문협회에 이들이 해 왔던 역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