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 뉴미디어 책임자들의 협의체가 곧 탄생할 예정이다.

경향 월드넷, 동아 마이다스, 서울 뉴스넷 등 최근 1∼2년 사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뉴미디어 사업에 진출해온 신문사들이 공동모색을 위해 뉴미디어협회를 추진하고 있다.

참가사는 이외에도 중앙(조인스), 조선(디지틀조선일보), 코리아헤럴드(코리아헤럴드 뉴스), 한경(에코넷), 한국(코리아링크), 한겨레(인터넷 한겨레)등 9개 신문. 실무자들은 이미 4차례 모임을 갖고 협의체 성격과 역할에 대한 논의를 가졌다. 내년 1월 중순께 창립기념식을 열기로 잠정적인 결론까지 내려놓은 상태다.

모임의 대상은 각사 뉴미디어 책임자들이다. 이들은 모임을 정례화하고 신문사 뉴미디어사업이 당면한 서비스 유료화, 통신광고 가격결정등 공동해결과제에 대한 논의와 연구작업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경우에 따라선 강제규정까지 고려에 두고 있다. 이 때문에 단순 협의체 수준의 신문협회 산하기구로는 들어가지 않기로 했다.

이들 9개 중앙일간지 뉴미디어 책임자들이 한자리에 모이게 한 핵심적인 이유는 적자 상태인 뉴미디어 사업을 ‘돈이 되는 사업’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이들 실무자들은 뉴미디어 사업을이신문산업의 구조적 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활로가 돼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익성이 미미한 현재상황에 대한 분명한 타개책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신문사 뉴미디어 책임자는 지난 8월 한달동안 뉴미디어사업으로 벌어들인 돈이 1천만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투자인력의 인건비도 안나온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일간지의 관계자는 PC통신회사에 기사정보를 제공해 받는 요금이 전혀 오르지 않아 수익이 너무 미미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신문사가 개별적으로 가격을 올리려고 시도할 때 실패는 불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수익성 문제를 생각할 때 제기되는 또 하나가 온라인광고다. 신문기사서비스의 유료화는 저항감이 크고 회수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돼 실질적인 수익은 온라인광고에 기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광고가격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엔 이견이 크다. 조회수로 할 지, 정액제로 할 지, 광고단가는 얼마로 정할 것인지 등 해결과제가 쌓여있다. 각사 입장 또한 분분하다. 이런 상황이 협의체 구성을 통한 신문업계 공동의 이익 수호라는 길로 나서게 한 것이다.

협의체는 일단 신문사들끼리 시작하지만 방송과 통신사의 참여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