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토론이 2007 대선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고 있다. 대선을 21일 앞둔 현재 대선 후보들 간의 방송 토론은 한 번도 개최되지 않아, ‘유권자의 알권리 침해’ 등 정치권을 향한 비판 여론이 뜨겁다. 언론학계에서는 현 방송 토론 방식의 개선도 촉구하고 있다.  

논란의 원인은 정치권에서 제공했다. 최근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 후보는 다음 달 1~2일에 예정된 방송 토론에 불참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2일에 한나라당은 “BBK 관련 일체 토론은 불참”한다고 해 이날 MBC ‘100분 토론’은 결방됐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100분 토론 시청자 게시판은 정치권을 비난하는 목소리로 봇물을 이뤘다.

한나라당은 불참 근거로 △현재 수사 중인 BBK 사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정치권의 소모적인 공방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점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에 보낸 MBC ‘100분 토론’의 이메일에 따르면 한나라당이 불참한 이유는 “라디오 시선집중의 인터뷰에서 에리카 김의 인터뷰를 일방적으로 실은 점”이었고 한나라당은 “(MBC가) 3부, 4부 전체로 30분이나 그 주장을 내세웠다는 것”을 문제삼았다. 결국 한나라당이 ‘100분 토론’과 관계없는 프로그램을 거론하며 BBK 토론을 피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제작진은 “한 쪽 패널이 일방적으로 불참을 선언해 해당 시간에서 정상적인 토론을 다른 주제로 준비하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결방 이유를 밝혔다.

그러나 방송사에 대한 비판 여론도 적지 않다. 한국언론재단 김영욱 미디어연구실장은 “해외에서도 법적으로 규정된 토론이 아닐 경우 토론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조정되는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며 “그렇다고 결방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언론학계에서는 방송사 토론 방식의 변화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다. 인제대 김창룡 교수는 “첫째는 토론자가 토론에 참여하도록 강제하는 법, 둘째론 불참할 경우 미국처럼 빈 의자를 둔 채 토론회를 진행하는 법”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충남대 김재영 교수도 “토론회를 불참하는 것을 대국민 접촉의 기피라고 강조하고 미디어가 중심이 돼서 후보자를 견인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양후보 진영간의 토론보다는 삼자·사자 등 다자간 토론 방식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