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 콘텐츠 유통과 관련해 김승일 새지역신문연대조직 건설준비위원장(언론노조 부산일보지부 위원장·사진)은 '연대'를 강조했다. 이는 언론계의 뿌리깊은 관행에 대한 문제의식부터 출발한다.

   
  ▲ 이창길 기자 photoeye@  
 
"부산일보의 '이해찬 총리 3·1절 골프' 보도나 경인일보의 '군내 성추행' 보도 같은 지역신문 특종이 타사를 통해 인터넷에 '도배'되고 있다. 자체 취재가 안 되는 상황임을 뻔히 아는데 출처도 밝히지 않고 베낀 기사가 포털에 뜨면 그 다음에 지역신문들이 후속보도를 할 수가 없다. 일단 뉴스저작권협회를 통해 콘텐츠가 유통되면 공급을 맡아왔던 기존 제휴사에는 콘텐츠를 주지 않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연대조직을 더 확대해서 종이신문의 전국규모 연대조직을 독자적으로 꾸려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 과정에서 연합뉴스와의 관계정립도 필요하다고 본다."

김 위원장은 일본의 지역신문들이 뭉친 '지역신문 멀티미디어·네트워크 협의회(MMN)'를 좋은 사례로 보고 있다. 그 첫 걸음이 새 지역신문 연대조직이다. 현재 12개 사가 모인 새 지역신문 연대조직은 8월 중순쯤 임시총회를 거쳐 회장단을 꾸릴 계획이다.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대상사가 주축이 됐으나, 지역신문 개혁과 회생이라는 취지에 동의하는 신문사도 가입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은 기존의 한국지방신문협회(10개사)와 전국지방신문협의회(28개사)에 대해 "지역신문 회생방안을 논의하기는커녕 한국신문협회의 '판박이'로 사장단 사교모임 성격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과거 일부 지역신문들이 기사·사진을 교환하거나 중앙일보가 주축이 돼서 콘텐츠를 모은 적이 있지만, 이는 낮은 수준에 그쳤거나 부당한 관계라 오래가지 못했다. 그동안 지역신문들의 연대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은 하나로 뭉쳐야 한다는 당위와 동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역신문이 뭉치면 힘이 된다. 이제 우리가 큰 소리를 낼 때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