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탐사보도팀이 일본 국립 공문서관에 보관돼 있는 일본 내각 상훈국의 서훈 재가 문서 1000여권을 분석, 일제로부터 훈장을 받은 3300여명의 한국인 명단을 찾아냈다. 일제로부터 훈장을 받은 조선인 명단 전체를 입수해 정밀 분석한 것은 KBS 탐사보도팀이 처음이며, 이 서훈록은 사료적인 가치 뿐만 아니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친일인사 명단 선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월부터 석달 동안 문서 1000여권 분석 '개가'

   
▲ 오는 24일 KBS 스페셜에서 방영될 예정인 <최초공개-누가 친일훈장을 받았나>의 한 장면 ⓒKBS
오는 24일 방영될 (KBS 1TV, 오후 8시 방영)에서는 이 문서를 정밀 분석해, 해방 전후 한국에서 친일 세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성장 과정을 거쳤는지, 그리고 이들이 해방 이후 어떻게 외세를 업고 국내 주요 기관에서 계속 활동했는지 추적한다.

KBS 탐사보도팀의 이번 보도는 끈질긴 문서 추적과 탐사 보도에 따른 성과로 보인다. 탐사보도팀은 지난 4월부터 석 달에 걸쳐 일본 국립 공문서관에 보관돼 있는 일본 내각 상훈국의 서훈 재가 문서 1000여권을 정밀 검색, 이에 일제로부터 훈장을 받은 한국인 명단과 공적조서가 낱낱이 기록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탐사보도팀은 지난 1897년 특명 전권대사로 일본에 갔던 외무대신 이하영이 최초로 일본 훈장을 받는 등 광복 때까지 모두 3300여명이 일본 훈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한 최고 5번이나 훈장을 받은 사람이 2명이었고, 두 번 이상 훈장을 받은 사람도 520여명으로 나타났다. 3300여명을 직업별로 분석한 결과 훈도와 교유, 교장 등 교육자가 684명으로 가장 많았다.

훈장 받은 직업, 교육자가 가장 많아

훈장 수여자 가운데 일제의 강제수탈에 직접적으로 동원됐던 군수는 499명이고, 군 공무원이었던 군속은 268명, 육군 192명, 경찰 154명, 조선총독부 관리 141명, 그리고 판사 55명, 검사 18명, 재판소 직원 55명 등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47명은 해방 이후에도 계속 군수로 일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탐사보도팀은 밝혔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일제 서훈자들이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의 주요 요직을 계속 차지했으며, 이후에 검찰총장과 대법원장(2명)이 된 인물도 나왔다는 점이다. 탐사보도팀의 한 관계자는 "어떤 인사는 안중근 의사의 동상건립위원장을 맡기도 했다"면서 "최근 수사권 독립을 놓고 벌인 검찰과 경찰의 낯뜨거운 친일 논란의 실체와 허구성도 조명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KBS는 탐사보도팀이 입수한 3300여명의 서훈자 명단을 토대로 한국 사회 곳곳에 내재돼 있는 친일 잔재 문제를 정밀 추적해 한국 사회의 친일의 뿌리가 얼마나 깊숙이 박혀있는지를 진단할 예정이며, 22일 저녁 <뉴스9>에서도 이를 비중 있게 전달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