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신문들이 잇따라 구독료 할인정책을 채택하는 등 신문판매시장에‘가격파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중앙일보와 조선일보는 구독료 자동납부시 일정액을 할인해주는 판매정책을 도입했다. 이후 동아일보도 구독료 할인정책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한겨레, 서울신문 등 다른 신문들이 “덤핑 공세로 마이너신문들을 죽이려는 정책”이라고 비판하면서도 대응책을 마련하느라 고심하고 있다.

중앙일보는 지난 16일 구독료를 자동납부하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월 1만2000원에서 1만원으로 구독료를 낮추겠다고 밝혔다. 중앙일보는 특히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 27일자로 메트로와 am7에 전면광고도 실었고, 오는 2월1일부터는 케이블TV 광고를 한달동안 내보내는 한편, 공중파 광고도 방영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1일부터 월 구독료 1만4000원으로 2000원을, 부당 600원으로 100원을 인상했던 조선일보도 같은 정책을 추진키로 해 구독료 할인경쟁에 뛰어들었다.

조선일보는 지난 21일 자동이체 독자에 대해 월 1만원으로 구독료를 4000원 인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인상했던 월 구독료와 부당 가격도 오는 2월1일부터 종전대로 각각 1만2000원과 500원으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 구독료를 올린지 3개월만에 종전대로 판매전략을 선회해 구독료 인상정책이 효과를 보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인천에 있는 조선일보의 한 지국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신문대금이 인상한 뒤 이탈한 독자가 적지 않았고, 인상에 대해 독자들한테 항의도 많이 받는 등 타격이 컸다”며 “다시 가격을 내린다해도 원상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이에 대해 “최근 환율 인하 등 용지대의 가격인하 요인이 생겨 제지회사와 꾸준한 협상을 벌인 끝에 상당한 규모의 용지대 인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조선일보 관계자는 “이사할 때 발생하는 구독중지 등 배달손실을 줄이고, 영수증 제작비, 인건비 등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영상 이익이 될 수도 있기 때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양사의 구독료 할인 정책에 대해 동아일보도 적극적인 검토에 들어갔다. 동아일보 고객지원국의 전략지원팀 관계자는 “현재 결정된 바는 없지만 다방면으로 알아볼 것을 일선 지국에 지시해놓은 상태”라며 “(중앙 조선의 수준으로) 우리 독자에게도 혜택을 비슷하게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선 지국장들 사이에선 할인정책에 대한 반대의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중앙일보 관계자는 “할인된 금액만큼 본사에 지급하는 지대를 낮춰주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반발은 있었으나 지금은 수그러든 상태”라고 말했다.

이밖에 다른 신문들은 “마이너를 죽이려는 조치”라고 반발하면서도 뾰족한 대응책 마련이 고심하고 있다. 한겨레 독자서비스국 이수윤 부국장은 “원가보다도 적게 받는 신문값을 더 낮추는 것은 할인이 아니라 덤핑”이라며 “가격 경쟁을 통해 마이너사들을 다 죽이겠다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 부국장은 “우리의 경우 당장 따라하면 독자를 덜 뺏기겠으나 득은 되지 않고 연간 20억 가까운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며 “나름대로 관망하면서 논리를 개발해 메이저 신문이 다른 방식으로 시장을 어지럽히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을 편집국 등에 알려서 기사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판매국 관계자도 “이미 예산을 1만2000원으로 짜놓았는데 추가 할인하게 되면 5∼10억의 적자를 감수해야하며 이는 엄청난 부담“이라며 “하지만 콘텐츠나 분량이 메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마이너 신문을 2000원이나 더 주고 누가 사보려 하겠느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 관계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