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2004년 신입사원 채용 때부터 도입할 예정인 지역할당제의 실효성을 두고 사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KBS는 신입사원 채용 때 전국권 사원과 함께 채용하는 권역별 사원 중 절반 가까이를 해당 지역 대학 출신으로 충원할 방침이다. KBS 인력관리실 관계자는 “지방에 보다 애정을 갖고 근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지역 총국 소속 사원들은 운영의 문제점을 들어 그 실효성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 총국에 채용됐더라도 5년이 넘으면 서울 등 다른 지역으로 옮길 수 있게 하는 현 순환근무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 지속되는 한 지역할당제의 본뜻이 살수 없다는 것이다.

이같은 지적은 특히 기자들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사와 지역총국간의 인사에서 가장 큰 불이익을 본 부문이 기자들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춘천총국에 소속된 한 기자는 “지난 99년 3명의 지역 총국 기자가 본사 보도본부로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한명도 서울로 올라간 일이 없다”며 “지방할당제가 자칫 지역 총국 사원들을 영구히 지방에 붙박이로 만들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자는 또 “지방대 출신 기자가 해당지역에 애정을 갖고 취재하도록 하겠다는 게 지역할당제의 취지라고 하지만 사회와 환경의 감시 역할 대신 지나친 애정으로 지방과 유착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KBS 개혁추진단의 한 기자는 “토호세력과의 유착은 과거의 일이고 앞으로 필요한 것은 ‘지역민과 얼마나 가까워지느냐’ ‘얼마나 지역에 애정을 갖고 있느냐’ 하는 문제”라며 “이 때문에 굳이 지역과 서울의 순환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문제제기도 나오고 있는 상태”라고 주장했다.

지역출신 기자들에 대한 인사상의 차별에 대한 문제제기도 있다. KBS는 지난해 보도부문에서 서울과 지방출신 기자가 각각 26명씩 승진시험을 치렀으나 승진한 15명 중 지역 총국 출신은 4명이었다.

이에 대해 개혁추진단의 한 기자는 “서울과 지방에 차별이 존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지역할당제의 취지가 살려면 이같은 구조가 우선적으로 깨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자는 “실제로 지역할당제가 실효를 거두려면 지역에서 지방대 출신을 뽑을 게 아니라 서울 본사에서 지방대 출신을 뽑는 게 맞다”며 “실제로 서울 본사 인력의 경우 최근 7∼8년 동안 지방대 출신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