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최근 발행한 사보와 노보에 경력기자와 수습 갓 뗀 기자 등의 ‘회사비판’을 담았다. 지난 13일 발행된 조선일보 사보 <“반대편 목소리도 겸허히 귀기울여야”>라는 글에서 A경력기자는 “(조선일보는) 팩트를 곡해해서 정략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밖에서는 보고 있다.

조선일보가 갖고 있는 권위만큼, 바르게 해석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데 그게 좀 부족하다. 수구꼴통이라는 비판도 여기서 나오는게 아닐까”라고 지적했다. B기자는 “조선일보가 얼마전 역사학자들의 입을 빌어 과거청산을 거론치 않겠다는 노대통령의 발언을 비판했는데, 그 학자들이 바로 지난해 친일파 논쟁이 일었을 때 ‘덮고가자’는 주장을 폈던 사람들이었다.

사안에 따라 오락가락하는 논리가 아닌 일관된 논리와 논지를 밀고 나가길 바란다”고 제언했다. 조선일보는 지난 달 초 김기철(한국일보), 홍원상(대한매일), 황대진(매일경제)기자를 경력기자로 채용한 바 있다.

지난달 29일자 사보도 수습을 갓 뗀 42기 기자들의 내부비판을 담아 눈길을 끌었다. “선후배간, 부서간 의사소통이 안되는 것 같다. 인간적인 교류도 거의없다고 느꼈다”(A기자) “아이디어 회의때도 기사가 되는지 안되는지 여부만 따지지, 평등한 의사소통이 없다. 기사나 편집결정권이 데스크 중심이다”(B기자) “얼마전 서해 꽃게잡이 기사를 보면 한겨레와 조선의 논조가 극과 극을 달렸다. 그게 개인 성향 때문인지, 이미 조직 분위기에 함몰돼서인지 궁금해진다”(C기자)

“조선일보를 강자의 대변 신문이라고 보고 비판하는 안티조선도 있다. 황학동 재래시장 회장은 ‘강자입장만 들어주는 신문’이라고 쏟아부었다. 이런 사람들을 무시하면 안된다”(D기자) 그런 논지를 수용할 수 없다면 명확하게 설명해줘야 하지 않을까 아쉽다”(F기자)

“우리 신문은 ‘보수 우익’이란 방향이 설정돼 있다. 그렇지만 보수꼴통이 아닌 ‘건전한 보수’란 평판을 들을 수 있게 사회 각층에 귀를 많이 열어야 한다”(G기자) 등이었다. 조선일보는 올해 초 12명의 42기 수습기자를 채용한 바 있다.

노보 27일 자엔 최근 경향신문에 있다가 중앙일보로 옮긴 사진기자의 사례를 들며 인재를 제대로 아끼지 않는 사내 분위기를 지적했다. 조선일보 노조는 중앙일보가 주말판을 내기 위해 경향신문 K기자를 영입하면서 △이 기자가 요구하는 장비 인력을 마련해줬고 △사진 저작권도 제공했으며 계약금까지 제공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노조는 “조선일보에도 K기자 못지않은 유능한 기자가 있었지만 5년여간 계약직으로 근무하다 끝내 적응하지 못하고 나갔다”며 “단지 계약직 신분과 금전적 불이익 때문만이라고 할 게 아니라 주변에 조직적인 분위기에 눌려 능력의 절반도 발휘하지 못한 채 ‘잠수’만 하고 있는 동료들이 없는지 돌아보는 것은 어떨까”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