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는 파업보도에서 원인은 없고 정부와의 대치상황만 있다고 비판했다. 다음은 전국철도노동조합연맹 김영준 정책국장과의 일문일답.

-철도노조 파업보도 어땠나.
파업이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관심보다는 사실관계에 대한 피상적인 접근만 하고 있다. 기자들이 많이 다녀가긴 하지만 파업을 왜 하는지를 이해하려 하지 않는 것 같다. 질문도 주로 파업을 하느냐 마느냐, 언제 끝나느냐에만 집중됐다.

파업 사실은 지난달 3일 지부장회의를 통해 예고됐고, 16일 공식적으로 선언해 언론으로서 원인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충분한 시간이 있었는데도 파업이 터지고 나서야 파업사실에 대한 기사만 나오고 있다. 구체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보다는 노동계와 정부의 힘겨루기라는 쪽으로 몰아가는 점도 문제다.

-언론보도에 대한 조합원들 반응은.
정부와 노조 중 도대체 누가 약속을 깼는지에 대한 검증은 없고, 파업하는 행위만을 갖고 마녀사냥식으로 몰아가고 있는데 대해 ‘도대체 우리가 뭘 잘못했느냐’는 억울한 심정을 나타내는 조합원들이 대부분이다. 파업 참여인원과 참여율도 철도노조 상황실측의 확인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교부 발표내용을 일방적으로 기사화해 사실과 다른 수치가 나가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 대단히 높다.

-노대통령의 ‘철도노조가 공사화 합의를 파기했다’ 발언에 대한 보도도 있었다.
공사화 합의는 사실과 다르다. 4.20 노정합의 때도 정부측의 공사화 요구에 대해 노조가 거부해 결국 정부도 철회했다. 노조와 충분히 협의한다는 당시의 약속을 오히려 정부가 깨고 의원입법으로 법안을 상정했기 때문에 파업에 나서게 된 것이다. 일부 언론은 이 과정에 대한 검증보다는 대통령의 발언만 기사화했다.

-공사화 되도 공무원연금 혜택을 달라는 노조요구에 대한 비판이 많다.
구조가 공사화 등으로 바뀔 경우 연금에 있어 불이익이 생기는 데 대해 정부 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해왔다. 우리는 33년까지 공무원연금을 보장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불이익이 발생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언론도 거의 언급이 없었다.

-불법파업, 정치파업이라는 표현도 나오던데.
정부에서 산업구조개편에 대한 문제제기는 쟁의대상이 아니라고 하지만 실제로 직원들 입장에서는 회사의 체제와 처우 등 모든 근로조건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문제다. 또 언론이 언제는 밥그릇만 갖고 싸움한다고 비판하다가 이제는 마치 밥그릇도 아닌데 왜 문제삼느냐는 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다.

-기자들이 철도노조 상황실을 출입하는 것을 통제하던데.
일부 신문들의 확대 과장 보도나 사실관계의 왜곡이 우려돼 내린 결정이다. 수배자의 안전문제와 기밀유지의 필요성도 있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