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파업사태에 대해 언론이 공권력 투입을 부추기는 보도에 골몰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조흥은행 노조가 지난 18일 파업에 들어가자 대부분의 신문과 방송들은 출금사태, 전산망 마비로 인한 국민 피해와 함께 정부의 공권력 투입방침에 초점을 맞춰 보도했다. 언론은 지난 22일 노사정이 합의안을 도출한 뒤에도 ‘노조에 또 밀렸다’는 점을 집중 부각했다.
23일자 주요일간지들은 <은행합병 결정권은 노조에게 있다>(조선) <또 노조에 밀린 조흥은 파업 협상>(중앙) 등의 사설을 게재했고 방송사들도 22일 메인뉴스에서 <파업하면 들어준다 또다시 확인>(KBS) <후유증 없을까>(MBC) <또다시 무너진 법과 원칙>(SBS) 등의 기사를 통해 정부를 비판했다.

이를 두고 언론들이 조흥은행 매각의 정당성과 매각절차의 합리성이라는 사태의 본질보다는 노정간의 힘겨루기 양상만을 게임중계하듯 보도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진현 한국노총 홍보국 간사는 “정부가 당초 독자생존과 분할매각을 약속해놓고도 최근 일괄매각으로 방침이 돌아선 근본적 이유에 대해 언론은 독자들에게 제대로 알리려 하기보다는 화물연대부터 시작된 노동계와 정부의 힘겨루기 양상으로 몰아갔다”고 지적했다.
조흥은행 파업보도에 대해 일부 언론사 내부에서 문제제기가 나오기도 했다. MBC의 한 중견기자는 “‘거의 매일 예금인출 사태와 전산망 마비 우려에 대해서만 집중 보도해 공권력 투입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몰아간 것 아니냐’ ‘파업이 시작된 뒤부터는 사태의 근본원인에 대한 접근이 사라졌다’는 지적이 기자들 사이에서 나오기도 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