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정부에 대한 조중동의 파수꾼 역할은 충분하다 못해 과하다. 그러나 언론의 제왕적 대통령인 조중동에 대한 파수꾼은 없는 셈이다. 이는 이 사회를 잘못 이끄는 한 요소일 수 있고 결국 조중동에도 불행이 될 것이다. 조중동은 바로 이 점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어야 한다."

노무현 정부에 대해 연일 혹독한 비판을 가하고 있는 '조중동'에게 한 신문사 논설위원이 "건전한 긴장관계의 수준을 벗어났다"며 비판에 나섰다.

문화일보 김광원 논설위원은 지난 18일 <조중동의 파수꾼은 없다>는 제목의 칼럼에서 "사회적 갈등의 확대재생산 구조에서 조중동이 바람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정면으로 비판했다.

김 위원은 "신문은 서로 다른게 바람직하다…조중동은 사전에 약속이나 한 듯 노무현 대통령을 때리는 칼럼, 노정권의 속을 뒤집어 놓는 제목들이 지면 밖으로 걸어나오는 듯하다"며 "조선일보는 '노무현대통령 구하기'를 통해 '노무현대통령 죽이기'를 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노대통령을 꼬집었다. 중앙일보는 '한 기업인의 비전'이라는 글을 통해 대통령을 비판하지 않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소개함으로써 노대통령을 모욕적으로 다루는 듯한 인상을 준다. 동아일보까지 들먹일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사례를 제시했다.

김 위원은 또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도입 문제에 대해서도 "조중동은 NEIS 자체의 인권적 측면에 대한 논의와 대안보다는 이익단체간의 갈등구조를 심화시킨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남북관게에 대한 조중동의 태도 역시 치우친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최근 최장집 교수의 논문 내용 가운데 '민주정치가 잘못 돌아간다고 할 때 그 책임을 모두 언론에 전가하는 것은 사태의 일면만 본 무책임한 일로 언론이 주도하는 정치는 정당정치 실패의 다른 면이기 때문'이라는 대목을 반대로 왜곡 보도한 것은 언론의 정도를 벗어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위원은 지난해 7월 <나팔수는 가라>는 칼럼에서도 "북한문제가 첨예화할 때마다 나오는 이분법적 대북강경론은 전통적으로 힘을 발휘해왔다. 보수집단에게 이같은 이분법은 단골메뉴였고 주로 민족지를 자처해온 보수언론이 그 선도역할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며 조중동 보도 태도를 우회적으로 비판한 적이 있다.

김광원 위원의 지적에 대해 조중동 측에서는 "칼럼 내용에 동의할 수 없다"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조선일보의 한 기자는 "정권의 감시는 언론의 가장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인데, 언론이 정권을 비판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중앙일보 이장규 편집국장 역시 "우리가 100% 완벽한 신문을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생각을 매도하는 것은 굉장히 불쾌하다"며 "현실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신문이 갖는 영향력을 인정한다. 하지만 이를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좀 더 좋은 신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침부터 밤까지 어떤 토론과 기획 속에서 신문을 만들고, 독자들의 항의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직접 와서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