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남북공동선언 3돌을 맞아 언론이 그동안 이뤄낸 남북관계 개선의 성과에 대해 지나치게 인색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색한 평가=통일연구원의 전현준 연구원(북한정치학)은 “경의선과 동해선이 연결되고 이산가족상봉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현상은 예전엔 상상할 수도 없었던 남북관계의 진전인데도 현재 언론의 관심은 대북송금, 북핵문제에만 집중돼있다”며 “특검을 통해 실체를 밝히더라도 나름대로 남북공동선언의 정신이나 역사적 의미에 대한 평가는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중앙일간지 통일부 출입기자도 “남북간 당국회담이 70여 차례나 열렸고 북핵문제가 있음에도 꾸준히 교류가 지속되고 있는 성과에 대해서는 언론이 꼼꼼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을 전후해 언론사마다 남북정상회담의 의미를 강조하는 사설을 앞다퉈 싣느라 떠들썩했던 점을 되돌아 볼 때 현재의 보도태도는 ‘냄비 저널리즘’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취재환경의 변화=남북공동선언 이후 언론사의 북한 취재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정상회담이 있었던 2000년 이후 북한을 방문한 언론·출판 관계자들은 모두 3만3599명으로 89년 이후 전체 방북자 수의 73.1%에 달한다. 또 89년 이후 언론·출판분야의 총 방북 건수(4078건) 중 63.4%가 2000년 이후에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 교류총괄과 관계자는 “정상회담을 계기로 언론인의 방북 및 대북 접촉 횟수가 급격하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전현준 연구원은 “북한을 취재하고 접할 기회가 늘어난 만큼 좀더 냉철하게 북한을 봐야 하나 일부 언론은 여전히 북을 보수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 같아 아쉽다”며 “표피적인 사건이나 현상에만 몰두하지 말고 좀더 깊이 있고 종합적인 사고로 접근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자들 반응=언론이 이런 남북관계와 환경의 변화를 인색하게 평가하는 것은 현 정부의 대북정책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게 기자들의 생각이다.

중앙일간지의 한 통일부 출입기자는 “언론의 인색한 보도 뒤에는 현 정부의 소극적인 자세도 한몫하고 있다”며 “DJ정부의 대북정책 성과를 계승하려 하면서도 북핵관련 주변 열강들을 의식한 나머지, 3주년을 기념하는 공식적인 행사도 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겨레 강태호 기자는 “언론이 소홀히 다룬 측면이 있지만 기념행사조차 제대로 열지 못한 정부의 소심함도 간과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다른 중앙일간지 통일부 출입기자는 “특검이나 북핵문제에 비해 남북공동선언의 의미를 상대적으로 비중 낮게 다룬 점은 인정한다”며 “하지만 핵문제와 관련해 당국자들마저 우리 뜻대로 할 수 없는 위기상황이라고 공공연히 얘기하는 판국에 언론으로서도 이런 분위기를 외면하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