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IS 시행을 둘러싼 언론보도에 대해 전교조측이 인권 문제라는 본질보다는 갈등 부추기로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지난달 26일 교육인적자원부가 전교조와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교무학사, 보건, 전학입학 등 3개 영역에 대한 시행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합의한 뒤 지난 1일 이를 번복하고 다시 전면 시행키로 결정하는 과정에서 교총, 교육부공무원 등의 반발에만 초점을 두고 보도했다.

28일 자엔 <교육부 6급이하 전원 “CS전환 거부”>(조선일보) <교육부 공무원 집단반발>(동아일보) <교총 “집단 연가투쟁”>(한국일보) <교총 한나라 학부모 “윤부총리 물러나라”>(국민) <교육부 공무원들 집단반발 교총선 “휴가투쟁 하겠다”>(중앙일보) 등으로 집단반발에 1면을 할애했고, 29일 자엔 ‘NEIS 아직 포기안했다’는 윤부총리의 발언을 문제삼았으며, 30일 자엔 전국 교장단의 윤덕홍 교육부총리 퇴진 요구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1일 교육부가 다시 NEIS를 사실상 전면 시행키로 하자 또 교단의 혼란이 우려된다고 되뇌었다. 일련의 보도에 대해 전교조는 우선 언론의 보도가 NEIS 사태의 핵심을 비껴갔다고 지적했다.

전교조 송원재 대변인은 “NEIS의 핵심은 인권침해라고 수차례 지적했으나 언론들은 거의 관심을 갖지 않았다”며 “인권보다는 행정효율, 예산에 가치를 두고 있는 교육부의 목소리에만 귀를 기울였다”고 지적했다. 한 교육부 출입기자도 “정보화 시대의 인권 문제가 중요한데도 소홀하게 다룬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까지만 해도 NEIS의 인권침해 문제를 지적해온 조선일보가 논조를 뒤집는 것에 대해서도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 해 9월 말까지만 해도 NEIS가 갖는 인권침해 요소에 대해 기자수첩 <중앙집권적 교육>과 <교육부 ‘교육정보망’ 추진 싸고 말썽>을 통해 비판했었는데 이번 사태 때는 인권문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전교조 송 대변인은 “논조에 이렇게 극단적인 변화가 온 것은 지난 보성초등학교 교장자살 뒤 전교조에 대한 반감 때문이라고 밖에는 설명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송 대변인은 출입처 위주의 취재시스템도 이런 문제를 발생시키는 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애초 인권위 권고안이 나오기 전까지 인권문제는 대다수 교육부 기자들의 관심 밖이었다”며 “인권위는 종로서 출입기자들이 취재하지만 이들은 NEIS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인권문제를 알리기가 구조적으로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사태의 책임을 윤부총리에게만 돌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송대변인은 “윤부총리가 합의사항을 뒤집은 데 대해 분명히 책임은 져야 하지만 그동안 NEIS를 추진했던 교육관료들의 책임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며 “오히려 이들 공무원 집단의 반발을 필요이상 부풀리는 데 급급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