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기자실 개방을 선언하고 출입기자들의 등록신청을 받기 시작한 가운데 새 시스템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선 운영방식을 좀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10일부터 출입기자 등록신청을 받고 있다. 12일 현재 20여개 언론사가 등록을 신청했다.

등록자격은 한국신문협회, 한국방송협회, 한국기자협회, 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기자협회, 한국사진기자협회, 서울외신기자클럽의 회원사로 △신문은 각각 취재기자 1명과 사진기자 1명 △방송은 취재 2명 카메라 3명 △통신은 취재 2명 사진 2명 △외신은 취재 1명 사진 1명까지 등록이 허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출입기자 수가 130∼150명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실제 등록신청 수는 그 두배를 넘을 것으로 보여 어떻게 선별기준을 마련할지 고심중”이라며 “실제로 ‘신문협회 등에 회원사가 아닌 매체는 어떻게 해야 하느냐’ ‘기준을 완화할 의사는 없느냐’는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고 밝혔다.

출입기자의 선정기준이 제한적이라는 지적에 대해 이 관계자는 “개방의 포인트는 종합시사지에 있지만,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전문지나 특수지에도 취재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춘추관 1층에 130∼1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자송고실을 마련하고 2층에는 150석 규모의 상설 브리핑룸을 꾸밀 예정이다.

대통령 관련 풀 취재는 경호상의 이유로 당분간 취재기자 2명, 카메라기자 및 보조 4명, 사진기자 3명이 참여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되 기자실을 오픈하는 6월부터는 수를 더 늘리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한편, 대변인 브리핑이 너무 부실하다는 지적도 많다. A언론사 출입기자는 “취재원에 대한 접근이 어렵고 청와대 관계자들도 기자를 기피하고 있어 전보다 몇 배나 힘들다”며 “균등한 취재기회 제공이라는 면에서 기자실 개방에는 동의하지만 자칫 청와대 취재의 ‘하향 평준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자는 이어 “대변인의 브리핑이나 ‘청와대브리핑’을 통한 취재와 기사작성은 자칫 발표저널리즘으로 흐를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충실한 브리핑과 취재협조를 위해 노력중”이라며 “기자가 수석비서관이나 보좌관 등을 개별적으로 인터뷰할 하기에 적합한 장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기자들도 취재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B언론사 출입기자는 “이제는 속보 경쟁이 의미를 잃었기 때문에 비서관을 통해 한마디 듣던 종전의 방식에서 벗어나 심층적인 기획이나 탐사보도를 하는 방향으로 취재방식도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