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기자실을 개방한다면 어떤 식으로 해야 할까. 우선 출입기자단만의 독점적인 정보접근에서 벗어나 최소한 청와대 공식 브리핑은 모든 기자들에게 개방하자는 데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기자실을 계속 존속시킬 것인지 △개방의 범위는 어디까지 해야 할지 △시점은 언제 해야 할지로 모아진다.

기자실 존폐문제와 관련, 브리핑제가 도입될 경우 원칙적으로 기자실도 폐쇄되는 쪽으로 가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한 전직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실이라는 말부터 브리핑룸으로 바뀌어야 하고, 특권을 누릴 수 있게 돼 있는 기자실은 브리핑제로 전환되면 당연히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기자들의 불편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청와대 기자실이 개방돼야 한다는 데 적극적으로 동의한다”며 “청와대 공식 브리핑은 현재 출입기자들 외에도 모든 기자들에게 개방해야 하며 기자실도 폐쇄하는 쪽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반면 일부 출입기자들은 기자실 개방에 대해 원칙적으로는 동의하고 있으나 기자실 폐쇄 등 구체적인 제도개선에는 그다지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 중앙일간지 청와대 출입기자는 “기자단 차원에서 기자실 개방문제를 공식적으로 논의한 바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들과 개별적으로 이 문제를 놓고 논의했을 때 기자들은 기자실이 개방되면 여러모로 불편하다는 점 때문에 많이들 반대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른 중앙일간지 청와대 출입기자는 “브리핑에 대한 개방은 인정하겠지만 기자실 폐쇄에 대해 기자들이 쉽게 동의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까지 누려온 기득권을 모두 포기하라는 뜻인데 이를 쉽게 내놓으려 하겠느냐”고 말했다. 개방의 범위도 관심사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원칙은 개방이되 수위를 어떻게 조절할지가 문제”라며 “개방을 추진한다면 충분한 사전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논란은 청와대 기자실을 개방했을 때 현재와 같이 비서실도 일부 개방할 것인가 여부다. 청와대측은 이에 대해 공식 브리핑 외에 비서실까지 개방하기는 상식적으로 무리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현재 출입기자단에 한해서만 하루 두 차례씩 허용되고 있는 청와대 비서실 개방도 어려워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현재 형식적으로 그치고 있는 정례 브리핑을 충실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겨레 정연주 논설주간은 “무제한적인 접근을 허용하는 것도 문제지만 기자들에 대한 정보접근을 차단하는 쪽으로 악용돼서도 안된다”며 “이 때문에 브리핑이 형식적인 선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보다 충실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기가 늦어지면 과거 정부에서처럼 흐지부지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도입시기는 가급적 빨리 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한 중앙일간지 청와대 출입기자는 “청와대 기자실 개방을 추진하겠다면 가급적 집권 초에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시행과정에서의 복잡한 문제 때문에 중장기 과제로 넘길 경우 오히려 기자들의 반발을 사 추진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도 “새 정부가 기자실을 개방할 의사가 있다면 바로 해야 하고 과감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보기

- “청와대 출입기자단을 해체하라”
- 기자실 개선방안 “브리핑제 도입”
- 미 백악관, 모든 기자들에게 개방
- DJ 집권초 개방 추진…기자단 반발로 무산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