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요계 비리에 대한 검찰수사와 관련, 음반업계 관계자들은 PR비 수수 관행이 사라지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음반 하나를 출시하는 과정에서의 마케팅비가 과거에 비해 늘어나긴 했지만 영화사업처럼 제작비에 비해 5∼6배까지 지출하기 어려워 방송광고 등 공식적인 홍보수단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한 중소 연예기획사 대표는 “음반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한 지난 93년 이래 마케팅비의 비중도 늘어 현재 음반 하나를 출시하는데 드는 비용은 제작비, 마케팅비, 유지 및 관리비가 각각 1억∼1억5000만원으로 모두 3억∼5억원 가량이 든다”며 “그러나 지상파TV의 경우에는 15초당 600만원 정도가 들어 사실상 방송광고를 통한 홍보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이 때문에 PD에게 개인적으로 접근해 자연스럽게 PR비를 주게 되는 것”이라며 “음반사에서 신문광고를 하기도 하지만 광고비보다 적게 드는 PR비를 선호하는 건 이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일부 PD들에게 건네지는 PR비는 음반사들에게 적잖은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이 대표는 “다수의 PD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부 PD의 경우 노골적으로 PR비를 요구하는 뉘앙스를 풍기는 경우도 있다”며 “PR비 규모는 통상 일선 PD의 경우 100만원, 간부급은 300∼500만원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전체를 통틀어 PR비를 받는 PD는 10명 정도”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PR비 제공은 고급 룸싸롱 접대 등 향응을 통해서도 이뤄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번 수사에 대해 음반업계 관계자들은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를 동시에 내고 있다.
한 음반업계 관계자는 “검찰수사가 자칫 전체 음반회사들과 가수, 방송사 PD를 비리집단으로 몰고가 가뜩이나 위축된 음반시장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긴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이번 일을 계기로 보다 음반시장이 보다 투명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보기

- “방송­연예 마피아 알았지만…”
- “곪을대로 곪은 유착사슬 끊어야”
- ‘불똥튈라’ 고심 ‘옥석구분’ 기대
- “PR비 고질화 근절 어려워”
- 구조적 비리관행에 수사초점
- “불평등계약·담합 제재대상”
- “연예오락프로 근본적 수술 필요”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