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5주기를 하루 앞두고 드러난 언론의 관심은 신문마다 판이했다. 32개 지면에 사진기사 한 건만 실은 매체부터 5~7개 기사로 3개 지면을 꽉 채워 참사 관련 현장 곳곳의 현황을 취재한 매체까지 다양했다.

서울신문은 1면 보도를 포함해 가장 많은 3개 지면을 할애했다. 1면 보도는 2014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경기 안산 단원고 ‘스쿨 닥터’를 맡은 정신과 전문의 김은지 원장 인터뷰다. 김 원장은 이후 안산에 정신건강의학과의원을 열고 생존자와 시민들을 만나고 있다.

▲ 15일 서울신문 1면
▲ 15일 서울신문 1면
▲ 15일 서울신문 6, 8, 9면
▲ 15일 서울신문 6, 8, 9면

해마다 4월이면 생존자 학생들도 그를 찾는다. 김 원장은 서울신문에 “이제 어엿한 성인이 된 아이들은 한발 떨어져 참사를 겪은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며 “‘지금’을 살아내 보기 위해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치료를 요청하고 있다고 한다”고 밝혔다.

‘세월호 참사 처벌 대상자 17명’ 명단도 다시 발표된다. 4·16연대는 15일 서울 광화문 기억공간 앞에서 “충분히 구조 가능한 100분 동안 피해자들을 배에 그대로 있게 해 304명을 숨지게 한 책임자”들을 발표한다.

▲ 15일 한겨레 1면
▲ 15일 한겨레 1면

지금까지 참사와 관련해 형사처벌을 받은 정부 관계자는 김경일 해경 123정장 뿐이다. 관련 명단을 입수한 한겨레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 등 청와대 4명, 김석균 전 해양경찰청장, 김수현 전 서해해경청장, 김문홍 전 목포해경서장 등 해경 7명, 김영석 전 해양수산부 장관 등 해수부 2명, 담당 국가정보원 직원 등”이 포함됐다 밝혔다. 또 “당시 법무부 장관이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도 광주지검 수사 책임자에게 진실을 은폐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으로 국군기무사령부(현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직원과 함께 이번 처벌 대상자에 포함됐다”고 전했다.

▲ 15일 경향 1면
▲ 15일 경향 1면

경향신문은 2015~2016년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활동을 방해해 기소된 공직자들의 ‘직권남용 사건’을 들여다봤다.(1면 “모든 건 2015년 1월19일 플라자호텔서 시작됐다”) 이날 플라자호텔엔 조윤선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새누리당 추천 특조위 위원인 조대환 부위원장고 고영주·석동현·차기환·황전원 위원, 해양수산부 공무원들이 모였다. 회의 내용은 2017년 공개되며 파장을 일으킨 ‘세월호 특조위 설립준비 추진경위 및 대응방안’ 문건에 나와있다.

이들은 특조위가 가동되기 전부터 해체를 논의했다. “위원회 설립준비 원점 재검토, 1·21 전원회의 시 문제제기” 등의 문구가 문건에 적혔다. 이밖에 “위원회 설립 관련 조직 및 예산 등 적극 대응”이나 “당·정·청 간 협의 채널 적극 가동” “특별조사가 필요한 세월호 특조위” 등의 문건도 있다.

서울동부지검이 이 사안을 1년 넘게 심리 중이다. 서울동부지검은 지난해 초 특조위 활동을 방해한 직권남용 혐의로 이병기 전 대통령비서실장, 조윤선 전 정무수석,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 해수부 김영석 전 장관과 윤학배 전 차관을 기소했다. 재판 핵심 내용을 전한 경향은 “34번의 재판이 열렸다. 12명의 증인이 법정 증언했다. 재판 과정은 보도되지 않았고, 사건은 한동안 잊혔다”고 했다.

▲ 15일 한겨레 2면
▲ 15일 한겨레 2면

15일 언론에 보도된 세월호 유족 및 조력자들은 15명이다. 서울신문은 ‘4·16 생명안전공원’ 건립을 추진해 온 김민환 한신대 교수, 5년 간 유족 곁을 지키는 한석호 전태일재단 50주기 사업위원장, 참사 피해자들 이야기를 기록한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를 인터뷰했다.

한겨레는 아직도 진도 팽목항을 지키고 있는 ‘2학년 8반 우재아빠’ 고영환씨를 만났다. 그는 팽목항을 찾는 시민들을 분향소로 안내하면서 틈틈이 “수도하듯” 세월호 리본을 만든다. 고씨는 “팽목항은 1천일 넘게 국민 시선이 집중된 현장이다. 가족의 그리움과 국민의 기다림이 응축된 공간”이라며 “세월호 참사를 상징하는 팽목항을 아무런 흔적 없이 사라지게 할 순 없다”고 밝혔다.

한국일보는 장완익 사회적 참사 특조위원장(2기 특조위)과 4·16 가족극단에서 4년째 연극무대를 올리는 “유가족 엄마들” 6명을 인터뷰했다.

▲ 15일 한국일보 1면
▲ 15일 한국일보 1면

정부·여당의 방해를 받은데다 강제 조사권이 없는 등 한계가 명백했던 1기 특조위는 진상규명을 속도있게 진행하지 못했다. 장 위원장은 한국일보에 “2016년 6월 해산되기 전까지 10개월 정도 활동한 1기는 세월호 선체조사조차 제대로 못했다. 가장 첫 단계인 침몰이유도 밝히지 못했다. 한 발짝씩 나가려고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 위원장은 “세월호 자료만 넘겨 받은 게 160만건이다. 여기에 청와대 캐비닛에서 나온 세월호 조사방해 문건과 새로 수집한 가습기 살균제 자료 등이 20만건이라, 180만건의 자료가 쌓여있다”며 “지금까지는 자료입수에 많은 시간을 보냈다. 향후 자료를 수집하면서 검토하고 분석하는 동시에 조사가 병행된다”고 덧붙였다.

▲ 15일 국민 12면(왼쪽)과 조선 10면 기사
▲ 15일 국민 12면(왼쪽)과 조선 10면 기사
한편 조선일보는 5주기 관련 사진기사를 1건 싣는 수준이었다. 조선은 지난 13일 시민 500여명이 광화문광장에서 노란 우산을 펼치고 거대 노란 리본을 만든 ‘5주기 추모 퍼포먼스’ 사진 기사를 1건 실었다.  

동아·세계·중앙일보는 이와 함께 13일 열린 ‘세월호 5주기 기억문화제’ 집회 현장을 사회면 기사로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