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인천지역의 유일한 지상파 OBS.

내게 OBS는 17년 동안 경기지역에서 언론운동을 하며 가장 애정이 있지만 채널을 고정시키지 못하는 방송이다. 시사, 다큐 프로그램이 많이 폐지되고 지역현안에 대한 프로그램도 많이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정부, 방송통신위원회의 오락가락 정책이 OBS의 경영악화를 초래했고 피해는 시청자들이 보고 있다.

경인지역의 제대로 된 방송국을 만들겠다는 의지로 3년 동안 풍찬노숙을 했던 현업인들, 400여개 시민단체가 지지하고 연대해 2006년 방송사업권을 받았지만 방송은 2008년 연말에 시작했고 사업자 모집 당시 약속사항이었던 역외재송신은 2012년에 허가되었다.

종편에는 신생 방송국이라는 이유로 온갖 특혜(방송발전기금 면제, 전국 의무 송출, 직접광고, 저채널 등)를 주면서 경인지역의 지상파인 OBS는 철저히 무시하는 찬밥신세였다.

미디어렙 법 개정 이후 공영미디어 렙에 보내달라는 요구는 묵살되고 방송권역이 겹치는 SBS가 주요주주로 있는 미디어크리에이티브에 배정하여 현재 OBS의 광고수익은 방송권역이 훨씬 좁았던 I-TV 시절의 절반으로 재정이 악화되었다.

OBS의 경영악화를 해결할 수 있는 첫 단계가 재송신료 문제로 볼 수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지상파에 대해 유료방송사들이 가입자당 400원을 주는 게 통상가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런 수입이 지상파 1개사당 8-900억을 넘나들고 있고 종편 역시 한해 150억 안팎을 프로그램사용료로 받고 있다. 현재 지상파는 재송신료를 100%인상하여 가입자당 800원을 요구하고 있다. 경영악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다른 지상파에게는 재송신료가 주요 수입원이다.

하지만 OBS는 개국이래 이런 재송신료를 한번 받아 본 적이 없다. 불공정한 계약때문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인지역의 시청자들이 방송통신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과 재송신료를 지불해야한다는 의견서를 제출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 위원회의 국정 감사에서도 OBS 재송신료 문제는 집중조명 되었고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은 “당연히 줘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고 황창규 KT 회장도 “긍정적인 검토”를 약속했다. 그 결실로 IPTV 3사로부터 재송신료를 받기로 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방송사의 재정에 도움이 되고 이는 지역 프로그램을 부활해나갈 수 있는 초석을 다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KT의 자회사인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는 여전히 정당한 재송신료 지급을 거부하고 있다. 본사 회장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한 발언을 거부한 것이다. 케이블 TV와의 협상이 타결되면 협상을 하겠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정부 가이드라인을 위반하는 행위이다.

수도권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OBS에 재송신료 지급 거부는 위법한 행위로 공공적 책무를 거부하고 경인지역의 시청자들을 우롱하는 처사다.

▲ 민진영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 민진영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경인지역 시청자들의 저항에 직면하기 전에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는 즉각 OBS 재송신료를 즉각 지불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