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산둥성에 해상 핵발전소를 연내 착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21일 환구시보 등 중국 언론들에 따르면 중국핵공업그룹 산하 중국핵동력연구설계원 뤄치 원장은 산둥성 앞바다에서 바지선에 실은 해상원전을 연내 착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해상원전은 바다에 떠 있기 때문에 위치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 해상원전 개발에 적극적인 러시아와 중국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하지만 그린피스를 비롯한 환경단체들은 해상원전을 ‘핵 타이타닉’ 또는 ‘떠다니는 체르노빌’로 명명하며 우려하고 있다. 당장 해상원전의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건설예정지인 산둥성 해상은 한국과 가장 가까워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한국도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이에 연합뉴스·뉴시스·뉴스1 등 뉴스통신사는 이 같은 우려를 비중 있게 전달했다. 채널A도 22일 “한반도 인접바다에 해상원전 짓는 中…안전성 우려”란 제목의 리포트를 냈다. 그러나 같은 날 이 같은 우려를 지면에서 찾기 힘들었던 언론사도 있다.

▲ 채널A 3월22일자 보도화면 갈무리.
▲ 채널A 3월22일자 보도화면 갈무리.
▲ 3월22일자 조선일보 3면.
▲ 3월22일자 조선일보 3면.
조선일보는 22일자 3면 기사에서 “해상 원전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강화된 안전기준을 만족하면서도 건설비가 적게 드는 경제성까지 갖춰 차세대 원전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육상 원전처럼 부지 확보가 필요 없어 전기 생산 비용은 육지 원전의 3분의1 수준이다. 원전 건설에 부지 인근 지역 주민 반발도 없다. 조선소에서 제작이 가능해 설계와 허가 기간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탈원전 정책을 추진 중인 한국과 달리 중국은 빠르게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맞추고,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석탄 발전을 대체하기 위해 원전을 늘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상원전에 대한 홍보만 가득하고 정작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지면에서 찾을 수 없었다. 조선일보와 함께 친원전 매체로 분류되는 문화일보·매일경제 또한 관련 기사에서 해상원전의 안전성 우려를 찾기 어려웠다.

그린피스는 “해상 부유식 핵발전소의 평평한 선체는 쓰나미나 사이클론에 취약하다. 커다란 파도가 언제든 발전소를 해안가로 밀어낼 수 있다. 빙산이나 다른 선박과 충돌할 수 있는 치명적인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하며 “충돌로 인해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면 길게는 수십 년간 수산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 해상 원전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이미지. ⓒ그린피스
▲ 해상 원전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이미지. ⓒ그린피스
그린피스는 또한 “해상 핵발전소의 원자로 규모는 지상의 기존 핵발전와 비교해서 용량이 작기 때문에 2~3년 마다 핵연료를 보급해 줘야 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핵폐기물은 12년간의 운영 기간 동안 선상 위에 보관하게 된다. 이는 핵폐기물이 수년 동안 바다 위를 둥둥 떠다닌다는 것을 뜻한다”며 “이 자체로 엄청난 위험일 뿐 아니라 향후 핵폐기물이 육지에 도착한다 하더라도 현재 지구상 어디에도 핵폐기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곳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 대표인 김영희 변호사는 “바다에 떠다니는 핵발전소에서 사고가 나면 그야말로 서해는 순식간에 방사능으로 오염되고, 보다 빨리 한반도는 방사능으로 오염될 것”이라고 우려하며 “이 문제에 대해 핵산업계, 핵공학계는 무슨 입장인지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