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노사가 지난 18일 주 52시간 근로제 등 근무제도 논의를 위한 ‘노사 혁신TF’ 첫 회의를 진행했다. 이 회의에서 52시간 근로제와 재량근무제 관련 개괄적 논의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재량근무제는 실제 노동 시간을 일일이 측정하지 않고 노사 대표가 서면 합의로 정한 노동 시간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52시간 근로제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만든다는 비판이 있다.

재량근무제를 노사가 합의할 경우 노동자가 노사가 합의한 근로 시간보다 장시간 노동을 해도 법의 보호를 받기 어려워진다는 점에서 언론사 노조들은 회사의 제안을 수용하지 않고 있다.

다운로드.jpg
조선일보 로고. 
중앙일보·JTBC노조는 지난해 9월 조합원 총회에서 재량근무제 수용 불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재량근무제는 아무리 노동시간이 늘어도 반박할 수 없는 스스로의 굴레를 만드는 것”이라는 반발이었다.

조선일보 노조는 지난해 재량근무제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적 있다. 박준동 전 위원장은 “언론사들의 경우 재량근무를 이유로 노동시간을 전혀 신경 쓰지 않고 마음대로 일을 시켜왔다. 재량근무라는 일종의 특수성이 보편적 원칙을 지키는 선 안에서 적용돼야지 그걸 빌미로 보편적 원칙을 무너뜨리는 쪽으로 가면 안 된다”고 언론에 말한 바 있다.

집행부가 바뀐 현재 노조는 노보 등에 재량근무제 관련 입장을 뚜렷하게 밝힌 적 없다. 노조는 52시간 근로제와 관련해 다양한 방안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일보의 한 기자는 “사실 지금도 주 52시간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여전히 노동 강도가 센 만큼 일각에선 차라리 재량근무제를 도입하고 회사에 더 많은 걸 받자는 여론도 있다”고 전했다.

중앙 일간지 소속의 한 기자는 “회사가 재량근무제를 도입하려면 (노조에) 상당한 대가를 제시해야 할 것”이라며 “조합원 권익과 직결되는 것이라 한두 푼으로는 도입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선일보 노사 혁신TF는 각각 4명씩 총 8명으로 구성됐다. 노조 측 위원은 전현석 위원장과 송원형 사무국장 외 조합원 2명이다. 회사 측 위원은 조정훈 조선일보 총무국장, 차학봉 편집국 부국장, 김기범 인사팀장, 이창형 인사팀 차장 등 4명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