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독교인 한아름씨(가명)는 얇은 지갑 사정에도 월 1만원 후원약정서를 썼다. 개신교계 온라인 매체 ‘뉴스앤조이’(대표 강도현)를 위해서다. 교계 한 단체에서 일하는 한씨는 법정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다. 이런 한씨가 선뜻 지갑을 연 이유는 하나다. 그는 “뉴스앤조이는 한국 개신교계에 없어져선 안 될 대안언론”이라고 했다.

“올해 경상적자가 약 4000만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뉴스앤조이는 지난 7일 ‘뉴스앤조이를 부탁한다’며 후원요청 글을 올렸다. 지난 1~2월 후원금 2900만원이 줄었다. 한 사람 1년 인건비와 맞먹는다. 이 중 2200만원(76%)이 교회의 후원 해지다. 배경엔 뉴스앤조이의 소수자 보도가 있다. 뉴스앤조이는 성소수자·난민 등을 향한 일부 교단의 인권탄압을 비판해왔는데 이에 대형교회 위주로 후원이 끊기기 시작했다. 미디어오늘은 13일 구권효(36) 편집국장을 만나 그간 사정을 들었다.

▲ 지난 13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한 구권효 뉴스앤조이 편집국장. 사진=손가영 기자
▲ 지난 13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한 구권효 뉴스앤조이 편집국장. 사진=손가영 기자

뉴스앤조이는 개신교계 ‘마이너리티 리포트’라 불린다. 뉴스앤조이 보도 단골 소재는 선교단체 대표 등 교계 권력자의 성폭력, 담임목사의 횡령·비리, 교회 세습 등이다. 고발기사가 유난히 눈에 띄는 이유는 거의 모든 개신교 언론들이 다루지 않아서다. 매체 대부분이 교단이나 교회의 기관지거나 대형교회 자금에 종속돼 취재와 보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뉴스앤조이는 탄생부터 독립언론을 표방했다. 2000년 한 대형교단 기관지에서 보도통제에 염증을 느낀 기자 4명이 ‘언론은 교권·금권으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며 창간했다. 소액후원 구조는 이 과정에서 나왔다. 소액 후원자 층이 탄탄해야 대형 교회 자본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었다.

2016년 8월 뉴스앤조이의 이동현 목사 성폭력 고발은 상당한 파장을 낳았다. 청소년 사역단체 라이즈업무브먼트 대표 이동현 목사는 미성년자에게 ‘그루밍(grooming·길들이기) 성폭력’을 저질렀고 이후에도 다수 10~20대 여성에게 성추행 등을 해왔다는 고발이 나왔다. 뉴스앤조이가 낸 보도는 15건이 넘는다. 교계 반응은 ‘크리스천투데이’란 매체에서 확인된다. 크리스천투데이는 뉴스앤조이에 “주사파가 교계에 심은 셀조직?”이라고 썼다.

담임목사 성폭력 고발 보도는 끊이지 않는다. 뉴스앤조이는 2014년에 일본 최대 규모 요한동경한인교회 김규동 목사의 성추행 및 폭행 피해자 5명을 만났다. 지금은 파리에 있는 파리열방교회를 보도하고 있다. 송영찬 목사의 성폭력 피해자만 2명이 넘는다고 보도했다. ‘여의도순복음교회’ 조용기 원로목사의 배임·탈세, ‘사랑의 교회’ 오정현 목사의 학력위조 의혹, 명성교회 부자 목회세습 등 사건도 뉴스앤조이에서 가장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난민·성소수자를 혐오하는 보수 개신교도의 ‘가짜뉴스’ 유포도 비판했다. 그 결과 뉴스앤조이는 5000만원 손해배상이 청구돼 소송 대응 중이다. 원고는 가짜뉴스 유포자로 지목된 김지연 약사다. 김씨는 ‘동성애자들이 항문암, A형간염 등 각종 질병에 노출돼 있고, 특히 남성 동성애자는 에이즈에 취약하다’고 강연한다. 지난 12월부터 두 달 동안 뉴스앤조의 사무실 건물 앞에선 ‘동성애 조장하는 뉴스앤조이 폐간’ 피켓 시위도 이어졌다.

▲ 2019년 3월14일 오전 뉴스앤조이 홈페이지 캡쳐.
▲ 2019년 3월14일 오전 뉴스앤조이 홈페이지 캡쳐.

교회개혁은 뉴스앤조이의 포기할 수 없는 과제다. 구 편집국장은 “목사의 성폭력, 횡령, 학력위조 등은 개신교의 ‘제왕적 담임목사’ 구조가 원인이다. 종교적 권위가 권력화되고 교인은 ‘순종이 미덕’이라 따르게 돼 문제 해결이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도태돼야 할 극우화는 더 확대 중이다. 개신교의 자정능력을 사회에 확인시켜주지 않으면 교회는 언젠간 고립돼 배척대상이 될 것”이라며 “가짜뉴스를 가짜뉴스라고 말할 교계 언론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미래 세대의 개신교’도 뉴스앤조이 고민 지점이다. 종교의 권위가 점차 줄어드는 사회인데다 개신교인 수도 계속 감소 중이다. 구 국장은 “시대가 급속히 변한다. 인권증진을 ‘기독교 파괴’라고만 보는 개신교를 미래 세대가 어떻게 기억할지 심히 우려된다”며 “교회가 고통받는 자들과 어떻게 연대할지 등 구체적인 방향성도 고민이다. 세월호 같은 큰 재난 상황에서 개신교는 성금을 걷는 것 외에 마땅한 행동을 찾지 못해 우왕좌왕했다”고 밝혔다.

구 국장은 “운영이 힘들다고 그만두기엔 여전히 해야 할 역할이 많다. 구성원들과 다시 의지를 다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