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자협회와 전국언론노조, 자유언론실천재단 등 언론단체들이 5·18 망언을 쏟은 자유한국당을 규탄하고 1980년 강제 해직 언론인 명예회복을 촉구했다.

한국기자협회, 전국언론노조, 한국PD연합회, 방송기자연합회, 새언론포럼, 자유언론실천재단 등 6개 언론단체들은 7일 성명을 통해 “황교안 자유한국당 신임 대표가 5·18 망언 의원 징계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어 논란이 크다”고 현 상황을 진단한 뒤 “이와 관련 우리 언론단체 대표들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의 광주 학살과 기사 검열에 항거 투쟁하다가 불법 해직당한 기자들의 명예회복 등 역사 바로잡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1980년 언론인 투쟁을 광주 항쟁 일부로 인정하는 것이 역사 바로잡기”라며 “다시는 국가 폭력에 의한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피해 언론인 배상법이 시급히 국회를 통과하도록 거듭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두환 세력은 1980년 신군부에 순응하는 언론 구조를 만들기 위해 64개 언론사를 18개로 강제 통폐합했다. 이 과정에서 언론인 1000여명 이상을 강제 해고했다. 

▲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가 2015년 6월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당시 황교안 국무총리와 환담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가 2015년 6월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당시 황교안 국무총리와 환담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MB정부 시절인 2010년 1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이 같은 사실을 밝힌 뒤 “공권력을 이용해 강압적으로 언론 자유를 침해한 책임을 인정하고 관련 피해자에게 사과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6개 언론단체들은 성명에서 “1980년 언론인 강제 해직 사건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위와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위의 진상규명 작업, 전두환·노태우 등의 내란음모 사건 조사와 대법원 판결 등을 통해 정치군인들이 정권 탈취를 목적으로 언론을 상대로 자행한 불법행위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도 80년 언론 해직자들에 대한 명예회복 조치를 위한 노력이 있었다. 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6년 10월 해직 언론인을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범위에 포함하는 내용의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같은 당 설훈 의원도 2017년 8월 해직 언론인 피해 구제를 위한 ‘1980년 해직언론인의 배상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안’을 발의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2017년 5·18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사에서 “수많은 젊음들이 5월 영령 넋을 위로하며 자신을 던졌다. 책임자 처벌과 진상규명을 촉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었다”며 “진실을 밝히려던 많은 언론인과 지식인들도 강제 해직되고 투옥됐다”고 말했다.

언론단체들은 “광주 항쟁과 80년 언론인 해직은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취지로 발생한 동일한 역사적 사안”이라며 “그러나 동질성이 인정받지 못한 부적절한 현상이 지난 세월 동안 지속된 까닭은 반민주, 반역사적 세력의 집요한 책동에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1980년 언론인 투쟁을 광주항쟁 일부로 인정하고 피해 언론인들에 대한 배상법이 국회를 통과하는 것이 역사와 정의, 진실을 외면한 세력들이 광주 항쟁을 폄훼하는 망언이나 행동을 하지 못하게 막는 원천적 안전판과 방어막”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