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교통방송(대표 이강택·이하 tbs)이 ‘서울시 교통본부 산하 사업소’라는 구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재단법인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 필요한 매체로 살아남기 위해 재단법인화는 물론 지역 공영방송으로 위상을 재정립하고 지역 공동체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전략도 제시됐다.

tbs가 21일 오후 서울시 서소문청사에서 주최한 토론회 ‘tbs재단법인화의 의의와 과제’에서 나온 밑그림이다. tbs는 지난해 12월 방송통신위원회에 tbs독립법인화 계획안을 제출하고 올해 로드맵을 내놨다. 재단 출범 시기는 오는 9월로 예상된다.

이날 토론회 발제를 맡은 김동원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위원의 자료집을 보면, tbs는 1990년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을 권역으로 95.1MHz의 주파수를 배정받고 성장한 FM 방송이다. tbs는 2005년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인 ‘tbs TV’를 개국했다. 2008년 12월에는 영어전문방송 tbs eFM을 개국했다. 매체 3개를 가진 지상파·PP 방송이다.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tbs는 방송법에 따라 지상파 라디오 방송으로 구분된다. 동시에 행정안전부의 법령과 지자체 조례를 따라야 하는 서울시 교통본부 산하 사업소이기도 하다.

tbs는 연간 300억원 이상의 서울시 전입금을 지원 받는 부서로 제약 조건이 상당하다. 방송사 정원 조정은 tbs 자체로 할 수 없다. 주력인 임기제 공무원 채용에 제약이 뒤따른다. tbs대표의 인사권과 직원에 대한 성과 보상도 마찬가지.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고 콘텐츠와 플랫폼 투자가 요구되면서 새 사업을 추진해야 하지만 1년 단위 예산으로는 ‘예산 유연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tbs 대표 라디오 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 역시 팟캐스트나 유튜브를 통한 청취 비중이 커진 상황인데, 주로 비정규직을 활용한 콘텐츠 플랫폼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새 사업을 위해 새 비정규직을 생산하는 구조다. tbs에서 비정규직 인력 비중이 압도적인 이유다.

김 위원은 “tbs FM 성과 중 하나는 서울 및 수도권이라는 지상파 라디오 방송의 제한된 권역을 넘어 팟캐스트나 유튜브와 같은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전국 권역의 이용자에게도 도달 범위를 넓혔던 점”이라면서도 “그러나 이런 확장을 담당한 인력은 현재 서울시 ‘뉴딜일자리’로 채용된 약 55명의 불안정 고용 인력들”이라고 지적했다.

1인당 23개월의 고용 기간만 1회 보장되는 뉴딜일자리 특성상,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플랫폼 운용 인력에 필요한 숙련 및 경력자 채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 이는 tbs 내부 종사자의 디지털 콘텐츠 및 플랫폼 전략 교육과 숙련 동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일정한 자율성을 보장 받을 수 있는 tbs의 재단법인화가 필요한 까닭이다.

김 위원은 tbs가 서울 지역의 공론장을 담당하는 ‘지역 공영방송’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콘텐츠 측면에서 △주민 참여 자치를 위한 보도 기능 차별화 △마을 공동체와 마을 미디어 참여 확대 △서울 지역 외국인 공동체의 미디어 플랫폼 참여 확대 △지역 시사 프로그램 확대 등이 요구된다는 제언이다.

이를 테면 도시 재생 및 재개발 지역 세입자와 영업권자(자영업자)의 정보 획득 권리 강화, 마을버스 운행 등 지역 교통 문제 해법 제시, 교육청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의제 발굴 등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있는 의제가 콘텐츠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tbs 시설과 공간을 제공하고 영상 아카이브를 개방할 필요도 있다는 게 김 위원 생각이다. ‘시민과 함께 하는 지역 저널리즘’을 강화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김 위원은 tbs 재단법인화를 위한 과제로 △공영방송으로서의 독립성 확보 △내적 자율성 확보 △서울시로부터의 재정 자율성 확보 등을 꼽았다.

김 위원은 “수익원 제약은 단지 재정상의 문제만은 아니”라며 “콘텐츠 종사자들에게는 시청률이나 여타 지표 못지않게 콘텐츠 경쟁력과 시청자 반응에 따른 피드백으로서 광고 및 콘텐츠 판매 성과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tbs가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공영방송으로 지속가능한 재원을 확보하고 서울시로부터의 재정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방통위의 지역 지상파 방송에 대한 비대칭 규제 완화 및 진흥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2015년 3월 tbs에 재단법인 설립 검토를 요청했다. 2017년 7월 tbs교통방송재단(가칭)설립 기본 계획이 수립됐다. 지난해 12월 방통위에 독립법인화 계획안을 제출한 tbs는 올해 본격적 독립법인화 로드맵을 내놨다. 

[관련기사 : tbs교통방송 독립법인화 로드맵 나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