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에서 퇴직하자마자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으로 자리를 옮겨 언론윤리를 저버렸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윤도한 신임 수석은 “비판은 받겠지만, 언론의 정치권행이 무조건 잘못이라는 비판에 다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윤도한 신임 국민소통수석은 9일 오후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현직에서 직행했다는 비판을 두고 명예퇴직이 확정된 이후 제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윤 수석은 “MBC에서 대규모 명예퇴직을 실시했는데, 고액연봉자를 내보내고 그 돈이면 젊은 사람을 두 명이상 채용할 수 있는 임금이니 하는 취지였다. 80여 명이 지원을 해서, 그 중 심사해 조직에 필요한 사람이라고 판단이 되는 30여 명은 탈락했다. 54명은 조직에 필요한 사람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명예퇴직자로 확정됐다. 저도 그 대상에 포함됐다. 그래서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점상 지난해 12월 19~21일 심사를 거쳐 21일에 퇴직자가 확정돼 회사 인트라넷에 공지했다며 ‘31일자로 퇴사한다’는 게 21일에 확정된 것이고, 청와대로부터 제안은 31일 퇴사 처리 전이긴 하지만 퇴사가 확정된 이후라고 설명했다. 윤 수석은 “6개월 정도를 회사에서 아무 일없이 지냈다. 언론활동, 기사 작성 등 보도활동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MBC 노조를 비롯해 언론단체에서도 현직 언론인의 청와대행을 거세게 비판하고 있다. ‘감시와 견제자에서 정치 행위자로 직행하는 행태는 방송 독립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역행하고, 현역 언론인들의 진정성을 퇴색시키는 일’이라는 MBC 노조의 비판과, ‘참담하다’는 자유한국당의 비판을 두고 윤 수석은 “비판은 받아야죠”라면서도 “언론이 정치권으로 절대 가서는 안된다는 주장에 대해 100% 동의하지는 않는다”라고 답했다.

윤 수석은 6개월과 같은 일정기간의 ‘숙려기간’을 두고도 “퇴직후 6개월은 안가고 지켜야 한다는 것 역시 눈가리고 아웅이다. 그럼 캠프에 갔다가 가는 것은 괜찮으냐. 정동영 선배처럼 정치권으로 가는 경우도 있었지만 권언 유착으로 간 건 아니다. 정치권으로 갔다고 비난 받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 윤도한 신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지난 8일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이준희 기자뉴스 기자
▲ 윤도한 신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지난 8일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이준희 기자뉴스 기자
독재정권시절과 다르다는 점과 관련해 ‘당시와 질적 비교는 안되겠지만, 형식적 비교를 통해 문재인 정부 역시 내로남불’이라는 비판할 수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윤 수석은 “야당이 그런 비판으로 정치쟁점화하려면 하겠죠.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비판이 있으리라 예상하고 이를 감수하고도 국민소통수석직을 수락한 이유를 묻자 윤 수석은 “일부나마 가짜뉴스에 대한 걸러내기들을 구상해왔다. 팩트체크처럼 이상호의 고발뉴스하는 것을 봐왔다. 그래서 유튜브 방송 준비를 위해 장비도 좀 마련했다. 하지만 이름없는 유튜버로 활동하면서 가짜뉴스를 걸러 내는 것보다는 이 자리에서 하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지난 2017년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시키는 대로 기사를 만들고 사실을 왜곡하며 권력을 비판하지 못했던 기자들은 더 이상 뉴스를 만들면 안 된다. 이런 기자들이 쓰는 기사는 흉기”라고 말한 것과 지금도 여전히 같은 생각이냐는 질의에 윤 수석은 “생각이 바뀔리 있겠느냐”고 답했다.

권력을 비판하는 입장에서 권력의 위치로 가게 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윤 수석은 “권력의 힘으로 언론사에 칼과 채찍 휘두르는 것은 불가능한 세상이 됐다. 권력 편에서서 권력으로 언론을 통제한다는 시대가 아니다. 다만 사실이 아닌 부분들이 과장되게 허위로 번져나가는 것이 많다. 팩트를 정확히 전달해주는 역할은 국민소통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