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뉴스만 보던 시대가 끝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24일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여집위)의 2016~2018년 뉴스 이용집중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매체군별 이용점유율에 따르면 뉴스생산자 기준 종편군(32.5%), 지상파군(24.5%), 보도전문채널군(18.5%), 신문군(16.2%), 라디오군(1.6%) 순으로 나타났다. 뉴스이용창구 기준으로는 포털군(35.8%), 종편군(24.4%), 지상파군(21.7%), 보도전문채널군(11.2%), 신문군(2.3%), 라디오군(0.6%)순으로 나타났다.

2015년 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지상파군의 뉴스 이용점유율은 크게 감소했다. 지상파군은 뉴스생산자 기준 이용점유율에서 2015년 32.3%에서 7.8%나 감소했다. 뉴스이용창구 기준 이용점유율에서도 30.3%에서 21.7%로 8.6%나 감소했다. 이는 같은 기간 27.9%에서 35.8%로 7.9% 증가한 포털 군과 대조적이다.

▲ 지상파3사. 디자인=이우림 기자.
▲ 지상파3사. 디자인=이우림 기자.
여집위는 “2010년 출범 이후 대략 10년이 경과한 지금 지상파군의 뉴스 이용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왔으며, 새로 등장한 종편군과 보도전문채널군의 뉴스 이용점유율은 꾸준히 확대되어왔음이 확인된다”고 밝혔다. 지난 10년간 지상파3사는 공정성 논란 속에 보도경쟁력이 하락했고, 포털·페이스북·유튜브 등 뉴미디어 플랫폼의 성장과 JTBC 등 종편의 등장으로 여론 주도권을 빼앗겼다. 이제 지상파는 ‘공유되는’ 기사를 내놓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는 도전자의 위치다.

신문군의 경우 뉴스생산자 기준 점유율이 16.2%였으나 이용창구 기준으로는 2.3%에 불과해 뉴스이용자들이 포털을 이용해 신문 뉴스를 소비하는 현실을 확인시켜줬다. 여집위는“앞으로의 뉴스이용 조사는 이용자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뉴스 유통창구에 대한 기초 시장 자료를 확보해야 하고, 이를 위해 뉴스생산자, 뉴스유통자, 전문가 외에 이용자들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연도별 매체군별 뉴스 이용점유율 추이(뉴스생산자 기준). 2013~2018년. 출처=여집위
▲ 연도별 매체군별 뉴스 이용점유율 추이(뉴스생산자 기준). 2013~2018년. 출처=여집위
여론집중도조사는 민주적 의사 형성 과정의 건강성을 검토하기 위해 매체의 영향력 집중 수준을 확인하는 것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3년에 한 번씩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55개 일간신문의 종이신문 열독 데이터와 22개 라디오 청취데이터(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수용자의식조사), 11개 채널의 TV시청률조사, 그리고 138개 뉴스생산자 사이트와 44개 인터넷뉴스중개자사이트의 체류시간 데이터(닐슨코리아)를 분석한 결과다.

이용자들이 평가하는 각 매체부문의 상대적 중요도를 수치화한 매체부분 가중값의 경우 신문이 2012년 17.3%에서 2017년 7.8%까지 떨어졌고 2018년엔 9.2%를 나타냈다. TV는 2012년 48.2%에서 2015년 54.2%까지 올랐다가 2017년 49%, 2018년 45.3%를 나타냈다. 인터넷뉴스는 2012년 26%에서 2018년 40.4%까지 올랐다. 이용자들이 TV와 인터넷의 여론형성능력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대목이다.

이번 조사에서 언급된 지상파군은 KBS·MBC·SBS의 TV+라디오+인터넷합산으로, 종편군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의 신문+TV+인터넷합산으로, 신문군은 방송사가 없는 한국일보 등 12곳의 신문+인터넷합산으로 점유율이 측정됐다.

앞선 여집위 조사에선 매체점유율 점수가 언론사별로 공개된 바 있다. 3년 전 신문+방송+인터넷뉴스+라디오 합산 여론영향력 점유율은 KBS계열 17.5%, 조선일보 계열 11.1%, 연합뉴스 계열 9.9%, 동아일보 계열 9.7%, MBC 계열 7.6%(뉴스생산자 기준)였다. 그러나 당시 SBS가 여집위의 여론집중도조사결과가 왜곡됐다고 주장했고, 실제로 시사보도프로그램 편성시간이 많을수록 순위에 유리했던 것으로 알려져 ‘종편 편향’ 논란이 일었다. 당시 점수는 특정 매체의 광고영업도구로도 이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이번 조사에선 언론사별 점수가 사라졌다. 3기 여론집중도조사위원장인 유세경 이화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언론사별로 점수가 매겨지자 위원회의 조사 목적과 달리 순위중심으로 내용이 전파되며 매체별로 각자의 이해관계에 맞게 해석하거나 갈등이 이어지는 부정적 효과가 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