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G20 정상회의 참석차 아르헨티나에서 한미정상회담을 개최하면서 2차 북미정상회담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서울 답방 문제가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두 정상은 30일 오후(현지) 배석자 없이 단독으로 30분 동안 만나 한반도 비핵화 현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청와대의 공식입장은 “양 정상은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공동의 노력에 추가적인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 했다”는 것과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전까지는 기존의 제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는 것이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핵심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확인하고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를 조속히 추진하는 조건을 만드는 데 있었는데 긍정적인 답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북미 고위급 회담이 열리지 않으면서 교착 상태에 빠져 있었던 것을 한미 정상이 만나 ‘교통정리’를 하면서 탑 다운 방식의 선순환을 만드는 시작점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기를 언급한 것도 가시적인 성과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G20 회의를 마치고 귀국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북미정상회담 개최 장소로 3곳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내년 1월 또는 2월에 2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전망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1일 CNN과 인터뷰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내년 1월 1일 이후 얼마 안 돼(shortly)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6월12일 싱가포르의 센토사섬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정상회담을 가졌고 이 자리에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같은달 13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 연합뉴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6월12일 싱가포르의 센토사섬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정상회담을 가졌고 이 자리에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같은달 13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 연합뉴스

여전히 실질적인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 문제와 이에 따른 상응조치 문제로 북미간 이견이 존재하긴 하지만 2차 북미정상회담 시간표가 나왔다는 건 합의점을 찾기 위해 협상의 속도를 올리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청와대도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었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이 가급적 빨리 열어야겠다는 데 두 정상 생각이 일치했다”며 “큰 계기가 될 것 같다. 지난번(1차 북미정상회담)보다 더 진도가 나갈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김 위원장 성루 답방 문제에 대해서도 “그간 김 위원장의 언행을 보면 자기가 얘기한 것은 꼭 약속을 지켰다”며 “물론 시기적으로 조금 늦어질 수 있어도 말이다. 연내 서울 답방도 그런 차원에서 우리는 이해한다. 시간이 지연되더라도 김 위원장이 자기가 한 말이 있기 때문에 꼭 연내가 아니라도 상관 없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북측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김 위원장 답방 시기가 정해질테지만 2차 북미정상회담에 ‘청신호’가 일단 켜졌기 때문에 연내 답방에 굳이 목을 멜 필요가 없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

경우의 수는 세가지다. 연내 김 위원장 서울 답방이 이뤄지고 연초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는 경우, 연초 김 위원장 답방 후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는 경우, 연초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후 서울 답방이 이뤄진 경우다.

북측으로선 김 위원장 서울 답방 카드를 언제 꺼내면 가장 효과적일 수 있을지 계산기를 두들길 것으로 보인다. 2차 북미정상회담 전 서울을 답방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남북관계를 돌파구로 삼아 북미 협상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게 좋을지, 아니면 북미정상회담에서 세기적 담판을 짓고, 본격 남북관계 경제협력을 위한 무대로 서울 답방을 활용할지 등이다. 결국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까지 물밑 협상에서 탐색전을 벌이면서 서울 답방 카드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