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아시아경제 보도와 관련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아시아경제는 26일자 신문에서 청와대 국가안보실 보고서를 입수했다면서 보고서에 ‘한미공조에 이상이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보도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다.

청와대는 아시아경제가 보도한 국가안보실 보고서는 내용과 형식에서 청와대 내부 문건이 아니라며 한 연구소의 사칭 메일에 첨부된 문건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김의겸 대변인은 27일 브리핑을 통해서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오늘 오전 안보실을 사칭한 가짜 메일이 외교 전문가들에게 발송되고 결국 언론에 기사화까지 된 사건과 관련해 경찰청 사이버 수사과에 수사의뢰서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수사의뢰서 발송처는 안보실 사이버안보 비서관이다.

김 대변인은 “청와대는 이 사건이 단순한 오보 차원을 넘어서 언론 역사에서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악성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허위조작 정보가 생산유포된 경위가 대단히 치밀한데다 담고 있는 내용 또한 한미동맹을 깨뜨리고 이간질하려는 반국가적 행태”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김 대변인은 후속 조치와 관련해 “끝까지 파헤쳐서 누가, 왜 이런 일을 벌였는지 밝히겠다. 최소한도의 확인도 거치지 않고 보도한 언론사에도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민정수석실과 안보실 차원의 조사 차원으로 사태의 실체를 밝히기는 어렵다고 판단해 경찰에 수사 의뢰를 했다고 전했다. 안보실 차원에서 기본적인 사실 경위는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 ▲ 11월26일자 아시아경제 보도.
▲ ▲ 11월26일자 아시아경제 보도.
이번 사안은 문재인 대통령에게까지 보고가 이뤄지면서 수사 단계에서 실체 파악에 강한 드라이브가 걸린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가짜보고서’를 만들어 언론의 기사화가 되기까지 치밀한 작전을 세워 실행에 옮긴 배후가 있을 것으로 보고 경찰 수사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사칭 메일을 보낸 적이 없다는 연구소 직원의 진술에 따라 해킹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찰 수사 관건은 해킹 가능성까지 열어놓고 ‘가짜보고서’를 작성한 세력이 누구냐에 달려 있다. 아시아경제가 보고서 출처에 대해 함구할 것으로 보이지만 국가 안보와 관련된 사태의 엄중함이 커질 경우 보고서 입수를 위한 접촉 경위에 대해 밝히라는 압박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언론 역사상 가장 악성’이라고 표현할 만큼 특정 세력이 언론을 끼고 한미동맹을 깨뜨리고 정권을 흠집 내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건데, 향후 경찰 수사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든 사실관계가 드러나면 파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는 27일 오후 청와대 문건과 관련한 후속 보도를 내놓지 않았다. 논란이 됐던 26일자 기사는 수정되거나 삭제되지 않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