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청와대에서 여야정 상설협의체 첫 만남이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들이 손잡은 이날 소식을 6일자 신문 대부분이 1면 등 주요 면에 보도했다.

세계일보는 1면 머리에 “여야정 ‘탄력근로제 확대 적용’”이란 제목으로 이를 보도했다. 한국일보도 1면 머리에 이 소식을 ‘탄력근로제 확대 등 12개항 합의… 협치 첫걸음’이란 제목으로 보도했다. 12개항 합의 중에서 ‘탄력근로제 확대’를 제목 달아 보도한 신문이 많았다.

▲ 세계일보 6일자 1면
▲ 세계일보 6일자 1면

매일경제신문도 1면에 ‘대통령·여야 탄력근로제 확대’란 제목을 달았고, 동아일보도 1면에 ‘기업 어려움 해소위해 탄력근로제 확대 적용’이라고 제목 달아 보도했다.

조선일보도 1면에 ‘탄력근로 6개월~1년 확대 추진’이라고 제목을 달았다. 조선일보는 현행 3개월인 탄력근로제를 최소 6개월 이상 확대하는 쪽에 방점을 찍었다. 대부분의 신문이 해설면에선 논의키로 합의한 12개항을 주로 언급했는데, 조선일보는 3면 해설기사의 제목을 ‘1년6개월만에 첫발 뗀 협치… 웃으며 뼈있는 말 주고받았다’로 달았다. 협치보다는 ‘뼈’에 더 주목했다.

조선일보는 3면 별도기사에서도 “김성태, 文대통령에 ‘靑인사의 자기정치 도 넘었다’… 임종석 저격‘이란 제목을 달아 첫 만남의 의미보다는 청와대와 자유한국당의 대립각에 더 주목했다.

협치 첫날 “한주먹도 안되는 게” “쳐봐” 충돌

청와대에서 상설협의체 첫 만남이 이뤄진 날 국회 예산결사특위 회의장에선 한국당 예결위 간사인 장제원 의원과 박완주 민주당 의원이 주먹다짐 일보직전까지 가는 험악한 꼴을 보였다.

▲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6일자 조선일보 3면, 국민일보 3면, 동아일보 6면
▲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6일자 조선일보 3면, 국민일보 3면, 동아일보 6면

장제원 의원이 박영선 민주당 의원의 질의가 “한국당 송언석 의원을 콕 찍어 명예를 훼손했다”고 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박완주 의원은 “잘못 들은 얘기다”라고 했지만 장 의원은 “속기록을 보라”고 거듭 항의했다. 이에 박홍근 민주당 의원이 “야당의 공세에 위축되지 말고 객관적 팩트로 대응하라는 예기였다”고 선을 그었지만 장 의원은 멈추지 않았다. 박완주 민주당 의원이 “독해 능력이 안된다”고 하자, 급기야 장 의원은 “너 죽을래. 나가서 붙자”라고 소리쳤다. 이에 박 의원은 “나가. 쳐봐라”라고 응했고, 장 의원은 “한주먹도 안되는 게”라며 격돌했다.

심상정 “고용세습, 노조 때문에 미온적? 우선 해결”

중앙일보가 6일자 8면 머리에 심상정 정개특위 위원장을 인터뷰해 실었다. 3선의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비상설이긴 하지만 처음으로 국회내 직책을 맡았다. 여야가 오랜 진통 끝에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했고, 심상정 의원이 그 위원장을 맡았다.

중앙일보는 정의당과 노조의 특수관계 때문에 고용세습 논란 때 미온적이었다는 지적이 있다고 물었다. 이에 심상정 의원은 “노조 때문에 미온적이라는 것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채용 비리나 불공정 세습은 가장 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답했다. 중앙일보는 이 기사에서 심 의원의 이 발언을 본문 앞과 맨 뒷부분에 2번이나 동어반복하면서 명토 박았다.

▲ 중앙일보 6일자 8면
▲ 중앙일보 6일자 8면

정개특위 위원장에게 걸맞는 질의응답은 국회의원 수 증가에 대한 입장이었다. 중앙일보는 의원 수 증가에 국민적 반감이 워낙 크다고 했고, 심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 없애는 일에 찬성할 국회의원이 별로 없기 때문에 의원 수 확대가 현실적이지 않을까”한다고 답했다.

앞서 같은 질문에서 심 의원은 “국회의 특권 중 가장 먼저 내려놓아야 할 게 300명이라는 의원 정수라고 본다”고 했다. 심 의원은 “국회의원의 희소가치가 놓을수록 힘 있고 돈 있고 권력 있는 사람들이 의원을 한다. 특권은 내려놓고 밥값 잘하는 의원은 늘리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의원 수를 묶어 놓을수록 특권층만 의원을 독식하기에 특권을 내려놓기 위해선 숫자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심 의원의 이 역설적 표현을 국민은 얼마나 이해할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