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5일 EBS 사장 후보자 명단과 지원 서류를 공개했다. EBS 출신 인사 6명을 비롯해 지원자 11명 모두 방송업계 출신이다.

장해랑 EBS 사장은 연임에 도전한다. 장 사장은 지원 서류를 통해 “86%의 사원이 반대한다는 여론의 엄중함을 잘 안다. 더 세심히 살피고 더 많은 대화와 소통을 하겠다”며 “노조를 경영파트너로 인정하고 논의 중인 편성규약 등 공정방송 장치들을 충분히 보장해 대화와 협력을 통한 상생과 회사의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장 사장은 KBS와 UHD 방송 송신비용을 둘러싼 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방적 합의를 했다는 의혹을 받아 사내에서 퇴진요구가 이어졌다.

장해랑 사장은 “모모e, 인터랙티브e 콘텐츠가 이제 걸음마 단계를 지나 100만뷰 달성한 콘텐츠가 나오기 시작했다”며 연임시 ‘창의융합콘텐츠국’을 신설해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EBS 사옥 ⓒEBS
▲ EBS 사옥 ⓒEBS

이번 공모에는 EBS 출신 인사 6명이 지원했다. 이전 공모 때도 지원한 정연도 전 EBS 기술관리국장은 혁신 수입원으로 ‘뽀로로’와 같은 유아 애니메이션 제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부서장 임명동의제를 공약으로 제시했다.

김석태 EBS 융합미디어본부장 및 심의위원은 EBS에 엔지니어로 입사해 디지털기술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4차산업혁명 대응 콘텐츠 개발 및 유통망 구축, 서비스모델 개발 제공 △미래사회 맞춤형 교육서비스 체제 구축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융복합 기술기반 솔루션 등 디지털 혁신 과제를 전면에 내세웠다.

류현위 EBS 심의위원은 콘텐츠기획센터장, 콘텐츠사업단장 등을 지냈다. 그는 방송, 출판, 온라인 등 사업을 총괄하며 △유튜브 계약 체결 △온라인 외국어 사이트 및 광고 부문 흑자 전환 △시청률 증대 △VOD 매출 증대 등을 성과로 강조했다. 그는 EBS의 과제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과 더불어 ‘통일교육’ ‘소프트웨어 교육’ ‘미디어 교육’을 제시했다.

노건 EBS 광고전문위원은 대외협력팀장, 광고사업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증권, 벤처기술투자사 등의 이력을 강조하고 광고사업부장 재직 당시 매출 신장 등을 성과로 언급했다. 그는 현재 노사 갈등을 언급하며 “신뢰를 자산으로 노사갈등의 조정자로서 화해와 통합의 일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박치형 EBS PD(전 EBS 미주지사장)는 ‘EBS 멤버십’을 전면에 내걸었다. 연 3만 원의 회비를 내고 EBS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멤버십을 통해 이용자를 확보하고 경영난을 돌파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기부금 및 후원제도 활성화도 경영 대책으로 제시했다.

EBS TV제작본부장을 지낸 이상범 한국영상대 영상연출학과 교수는 ‘통일시대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EBS에 연예인이 출연하고 예능이 결합된 프로그램이 많다고 지적하며 “갈피를 못 잡고 타 방송사처럼 따라하기식의 관행은 절대 EBS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타 방송사 출신 인사로 MBC PD 출신인 최진용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초빙교수도 지원했다. MBC 시사교양국장, 제주MBC 사장 등을 지냈으며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장, 한국방송협회 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인사다. 그는 △넷플릭스 등과 적극적인 공동제작 모색 △우수한 제작사와 1인 크리에이터 적극 발굴 지원 △한중일 공통 관심사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공동 제작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김영호 전 부산영어방송 본부장은 KNN,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등에서 일했다. 김 전 본부장은 ‘EBS 창의교육 테마파크’ ‘EBS 지역센터 설립’ 을 공약으로 제시했으며 조직 내부적으로는 ‘성과중심 경영시스템’을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

양기엽 광명시 관광과 주무관은 CBS보도국 해설위원, 전북방송 본부장 등을 연임했으며 ‘남북 동질성 회복과 평화통일 기반 조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강조했다.

정훈 한국DMB 상임고문은 EBS, KBS, SBS 플러스 등에서 PD를 지냈다. 그는 EBS에서 다큐를 제작하던 중 사망한 박환성·김광일 PD 사건을 언급하며 “정당한 노동권의 보장과 외주사가 살아야 본사가 산다는 기본철학의 공유 속에서 실천적인 개혁방향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EBS 사장 후보자 명단과 지원서류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9일까지 공개된다. 핸드폰 인증 절차를 거쳐 시민들이 의견을 남기면 방통위 심사에 반영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