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와의 임금협상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전국언론노조 한겨레신문지부(지부장 정남구·한겨레 노조)가 30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이들은 회사가 협상에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했다고 지적했다.

이런 움직임에 사측은 “창사 이래 노조가 사내 자원 배분을 남의 손을 빌려, 그것도 정부 기관 개입을 통해 결정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며 노조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19일 대의원회의에서 참석 대의원 만장일치로 ‘쟁의 발생’을 결의했고 22일 쟁의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쟁의 행위 준비에 돌입했다. 회사에도 ‘쟁의 발생’을 통보했다.

쟁점은 임금 인상에 대한 이견이다. 노조가 지노위에 제출한 신청서를 보면, 노조는 기본급에 관해 ‘14호봉 이하는 19만3000원을 정액 인상하고 15호봉부터는 1호봉마다 1553원씩 차감해가며 인상한다. 87호봉 이상은 모두 7만9000원 인상한다’는 안을 회사에 제시했다.

또 노조는 연말 당기순이익 예상액이 10억 원을 넘는다면 예상액의 30%를 성과급(성과상여금)으로 책정해 기본급에 비례하게 배분 지급하는 안도 포함했다. 기본급 평균 3.7% 인상안이다.

반면 회사는 14호봉 이하는 11만5500원 정액 인상하고 15호봉부터는 1호봉마다 1500원씩 차감해가며 인상하자는 안을 제시했다. 또 71호봉 이상은 모두 3만 원을 인상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회사안의 기본급 평균 인상률은 1.68% 수준이라고 한다. 성과급의 경우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 서울 마포구 한겨레 사옥. 사진=미디어오늘
▲ 서울 마포구 한겨레 사옥. 사진=미디어오늘
노조는 “한겨레 노사는 2016년 임금협상이 결렬돼 임금이 동결됐다. 다른 해도 기본급 2% 안팎의 낮은 인상에 그쳐 현재 종합일간지 업계 최저 임금수준이다. 특히 저호봉자들 임금 수준이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경향신문과 비교해서도 대졸 초임이 적다고 주장한다. 노조가 지난 25일 발행한 노보를 보면 지난해 임금 인상으로 경향신문 기자직 대졸 초임은 연 3000만 원을 넘어섰다. 반면 한겨레 노조에 따르면 2017년 한겨레 대졸 초임은 2538만 원이었다. 고호봉자 임금 수준도 경향신문이 한겨레보다 높다는 것이 한겨레 노조 진단이다.

노조는 “조정 기간 동안 노동위 조정에 진지한 태도로 성실하게 임할 계획”이라며 “조정이 무산되고 쟁의 행위에 돌입하게 될 경우 조합은 법에 따라 조합원 찬반 투표를 먼저 실시한다”고 밝혔다. 정남구 노조위원장은 31일 “현재로선 조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사측은 30일 임직원에게 보낸 메일에서 “30년 한겨레 역사에서 임금 인상은 물론 임금 삭감 때마저도 남의 손을 빌리는 행위는 없었음을 노조는 깊이 고민해주기 바란다”면서 “회사가 제시한 임금 인상안은 예년에 견줘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올해 임금인상을 둘러싼 소모적 줄다리기를 줄이려 최대한 전향적 협상안(인건비 증가액 8.09억 원)을 노조에 제안했다는 입장이다. 

사측은 “삼성 광고가 대폭 늘어났던 2014년과 2015년에도 노사 합의에 따른 인건비 증가액은 각각 5.48억 원과 10.5억 원이었다”며 “2016년에는 삼성 광고 축소가 본격화하기 전이었지만 임금이 동결됐다. 이어 지난해엔 전년 임금 동결을 감안해 인건비 증가액 10.5억 원 규모의 임금 인상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사측은 “충실한 교섭 노력 없이 우리 임금협상 문제를 지노위에 맡기겠다는 것”이라며 “자본가가 존재하지 않고 구성원 대부분이 노조원이자 주주인 회사에서 지금까지 볼 수 없던 과도한 임금 인상 요구와 소모적 투쟁에 이어 한겨레 자결(自決) 전통을 흔드는 노조에 깊은 아쉬움과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사측은 “앞으로도 성실하고 적극적 협상 태도를 견지하며 지속가능한 한겨레를 위해 노조가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