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지 ‘위클리 공감’은 정부가 매주 발행하는 간행물이다. ‘대한민국 정책정보지’를 표방한다. 지난달 추석 특별호(9월17일~30일) 표지는 정상회담차 만난 남북 정상의 평양 카퍼레이드 사진이었다.

커버 기사는 “평화가 새로운 미래를 만든다”는 제목으로 평양 정상회담 소식을 세세하게 다뤘다. 무가지인 이 잡지는 정부 부처 대변인실이나 국공립 도서관, 시군구 주민센터, KTX 등에서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건 잡지를 만든 곳, ‘조선뉴스프레스’다. 조선일보는 조선뉴스프레스 지분 84.92%를 갖고 있다. 조선일보 자회사인 이곳은 월간조선, 주간조선, 여성조선, 월간산 등 10여개 잡지를 발행한다.

남북 정상회담에 비판적 언론사의 자회사가 정부 간행물을 만들고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 2018 추석특별호 위클리 공감 471호.
▲ 2018 추석특별호 위클리 공감 471호.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6년 10월 ‘위클리 공감 외주 제작’ 사업을 입찰 공고했다. 그해 12월 시작되고 마감된 입찰에서 조선뉴스프레스가 중앙일보플러스를 제치고 낙찰 받았다. 사업기간은 지난 2017년 1월1일부터 올해 12월31일까지. 사업예산은 2년 동안 27억여 원이었다.

조선뉴스프레스 내 위클리 공감 관계자는 1일 통화에서 “정부에서 사업 공고를 낸 것이고 뉴스프레스에서 따냈다”고 했다. 조선뉴스프레스 인력들이 투입돼 위클리 공감을 만든다.

문체부 관계자도 “조선뉴스프레스가 제작대행을 맡고 있다”며 “콘텐츠 기획은 우리가 한다. 우리 요구대로 (조선뉴스프레스에서) 기사를 작성한다. 우리는 손발을 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019~2020년 사업을 위해 다시 입찰 공고를 할 예정이다. 

위클리 공감 전신은 반(半)월간 ‘코리아플러스’로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 9월 첫 선을 보였다. 첫 제작 대행사는 중앙일보시사미디어였다. 2007년에는 서울신문이 맡았다.

MB 정부 시절인 2009년 3월 ‘위클리 공감’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주간지로 재탄생했다. 입찰가도 1년에 6억5000만여 원이던 것이 13억 원가량으로 늘었다. 계약기간도 1년에서 2년이 됐다. 발행부수도 당시 새 정부 들어 3만부에서 7만부로 늘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엔 동아일보 자회사 동아E&D가 제작을 맡았다.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선 조선·중앙·동아 세 언론과 그 계열사만이 이 사업을 수주했다. 정부 홍보 잡지인 만큼 논란도 있었다. MB정부 4대강 사업의 긍정적인 부분만 부각했다는 비판받기도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