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은 무슨 기준으로 콘텐츠를 지우는 걸까? 페이스북이 미국에서 발표해온 ‘허위정보’ 대책들이 한국에도 적용될까?

페이스북코리아는 5일 서울 강남구 페이스북코리아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페이스북의 뉴스피드 정책을 설명했다.

페이스북은 ‘허위정보’에 “직접 진위를 판단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우고 공신력 있는 팩트체크 기관에 의뢰해 콘텐츠를 ‘검증’한다고 밝혔다. 지난해까지 페이스북은 4개국에서 팩트체크를 했고 올해는 17개국까지 확대했다.

페이스북의 대응은 줄이고, 삭제하고, 알려주는 것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팩트체크 기관의 검증을 바탕으로 허위정보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는 뉴스피드 하단에 뜨게 하거나 도달률을 80% 이상 떨어뜨린다. 이 같은 내용은 낚시성, 스팸 콘텐츠에도 적용한다. 즉각적 위험을 유발하는 잘못된 정보나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위반 콘텐츠 및 광고는 삭제한다. 허위정보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에 관련 기사, 위키피디아의 관련 내용, 게시자가 최근 작성한 글을 보며주며 이용자의 판단을 돕는다.

▲ 페이스북 모바일 화면. 사진=페이스북 뉴스룸.
▲ 페이스북 모바일 화면. 사진=페이스북 뉴스룸.

팩트체크는 링크된 사이트 뿐 아니라 사진과 동영상에도 적용하고 팩트체크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잠재적인 허위뉴스’ 모니터링도 추진한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은 페이스북이 올해 초부터 순차적으로 발표해온 내용으로 기자들의 관심은 ‘한국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집중됐다.

박상현 페이스북코리아 부장은 “‘페이스북은 국제 팩트체크 네트워크’(IFCN)의 인증을 받은 기관과 협업하는데 한국은 인증받은 곳이 없다”며 국내는 팩트체크를 도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페이스북 화면을 켰을 때 조금만 내리면 ‘허위정보’를 찾기 쉬운 국가와 비교하면 심각하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페이스북은 한국의 허위정보를 방치하고 있는 걸까? 박상현 부장은 “팩트체크와 별개로 전세계적으로 헤드라인에 과장된 표현을 쓰면서 클릭을 유도한 결과 광고가 넘쳐나는 경우는 금전적 인센티브를 없애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의 경우 ‘허위정보’를 통해 트래픽을 유발해 금전적 이익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보니 스팸과 낚시성 콘텐츠에 대한 정책이 허위정보 대책과도 연관성이 높다.

한국에서는 언론사와 유사한 사이트를 만들어 트래픽을 노리는 금전적 목적의 허위정보 사이트를 찾기 힘들다. 대신, 언론사가 트래픽을 유발하기 위해 자극적인 제목을 쓰고 많은 광고를 붙이는 경우가 적지 않아 언론의 노출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통신분야 심의가 이뤄지는 한국의 특성상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경찰청,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요청이 있으면 게시글에 조치를 취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박상현 부장은 “특히, 선거 때 선관위와 긴밀하게 협조하는데 삭제요청이 온다고 무조건 수용하는 건 아니다”라며 “콘텐츠 내용을 보고 가이드라인 위반 여부 등을 함께 살펴 최종 결정한다”고 말했다.

페이스북은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두고 노출, 혐오 등 가이드라인을 위반한 계정을 지운다. 이 경우 문화권마다 콘텐츠에 대한 가치판단이 다를 수 있는 데다 미국이 아닌 국가들의 콘텐츠를 제대로 살펴보지 않고 막무가내로 심의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많다.

이와 관련 박상현 부장은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은 글로벌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되 문화권에 맞춰 조정도 한다”며 “관련 업무는 해당 국가의 해당 언어를 사용하고 문화적 맥락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이 담당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