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은 되고 BTS는 안되고… 무슨 잣대냐.’ 오늘 조선일보 10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아시안게임이 끝나고 축구와 야구 등에서 42명의 선수가 병역특례 혜택을 입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3일 하루 동안 인터넷에는 병역특례의 기준이 뭐냐는 성토가 이어졌다. 다음날 보수, 진보신문 가릴 것 없이 이 소식을 주요 지면에 배치했다.

▲ 조선일보 10면
▲ 조선일보 10면

조선일보는 1면에 ‘모든 병역특례제 4년내 폐지 검토’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조선일보는 인구절벽에 따른 자원감소에 대비해 국방부가 예술 체육분야 병역특례를 포함한 대체복무제를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10면에도 해설기사를 실어 국위선양이란 모호한 45년 전 기준에 따른 병역특례 제도를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병무청의 발표를 언급했다. 병무청 관계자도 “여론에 따라 병역특례제도가 오락가락했다”고 실토했다.

‘손흥민과 BTS’ 굳이 대결구조여야 하나

경향신문도 12면에 ‘손흥민은 되고, BTS는 왜 안되나, 병역특례 시끌시끌’이란 제목으로 관련 내용을 담았다. 한국일보도 프로야구와 BTS를 대비시켜 6면에 ‘프로야구 선수는 되고, 빌보드 1위 방탄은 왜 안되나’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대결구도를 좋아하는 한국 신문의 특성을 십분 발휘해 손흥민과 BTS, 프로야구와 BTS를 대비했다. 조선, 경향, 한국일보 등이 이런 대결 구도를 제목에 반영해 보도했다. 문제해결보다는 갈등을 부추기고 방관하는 듯해 찜찜한 제목들이다.

▲ 경향신문 12면
▲ 경향신문 12면

반면 담담하게 문제점 자체에 주목한 신문도 있었다. 서울신문은 4일자 1면 머리기사로 이 논란을 보도하면서 ‘특혜논란 후폭풍에 병역특례 손본다’는 제목을 달았고, 이어진 2면 해설기사엔 ‘국방부 예술체육요원 민감한 이슈… 손보기는 해야’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동아일보도 6면에 ‘병무청장 체육-예술 병역특례 전면 재검토… 혜택 축소 시사’란 제목으로 보도했다.

0.9명 저출산 쇼크는 왜 만들어졌나?

우리나라 출산율이 1명 벽도 무너져 0.9명에 이르렀다는 보도가 나오자 조선일보는 ‘0.9명 쇼크’라는 시리즈 기사를 내고 있다. 조선일보는 4일자 1면에 시리즈 2번째 기사를 ‘3040세대 75% 저출산정책 2000개? 내겐 도움 안돼’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은데 이어 4면에도 전면을 털어 관련 해설기사를 붙였다.

▲ 조선일보 1면
▲ 조선일보 1면
조선일보 4면 머리기사는 ‘속타는 한국 엄마들 보육을 언제까지 할머니 인프라에 맡길거냐’는 제목으로 50~60대 여성을 심층 인터뷰했다. 4면 아래엔 ‘최저 혼인 건수 갈아치우는 한국 젊은이들’이란 제목의 기사도 추가했다. 조선일보의 이번 시리즈 기사는 정부가 지난 10년간 130조 원을 저출산 정책에 재정을 쏟았고 정부와 지자체가 관련 제도를 2000여 개나 만들었지만 출산율은 오히려 더 떨어졌다며 꼼꼼하게 분석했다. 아이 낳을 수 없는 구조에 좀 더 접근한 듯 보인다.

▲ 조선일보 4면
▲ 조선일보 4면

그러나 저출산지원제도 같은 사회구조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한국일보 4일자 12면엔 <현관에 떡 붙인 “당신은 출산력 조사 대상”>이란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이 기사는 보건사회연구원이 3년마다 조사하는 출산력 조사가 지닌 가부장적 조사문항을 비판했다. 출산력 조사가 보건복지 정책 수립을 위한 통계조사라지만 성 역할 등 시대변화를 반영하지 않고 가부장적 용어를 남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집앞 현관문에 조사대상임을 알리는 메모를 붙여 놓는 조사방식은 “여성이 거주하는 집이라는 것이 알려져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 건 물론, 여성을 사람이 아닌 가축과 비슷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 아니냐”는 분노를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조사표 5번 질문문항은 “아내는 남편이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남편이 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아내가 할 일은 가정과 가족을 돌보는 것 등 남성 우월적 가치관을 반영하는 내용”으로 이뤄져 있다. 한국일보는 보사연의 해명도 들었는데, 해명이 더 황당하다. 보사연은 변화한 가치관을 반영한 질문 문항도 일부 있다며 “3년 후 있을 차기 조사에서는 이번 비판을 수용해 어느 정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제도가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 문제다.

▲ 한국일보 12면
▲ 한국일보 12면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