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를 규제해야 하나? 뉴스를 취향에 맞춰 추천하면 문제 없을까? 국내에서 이 같은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페이스북과 구글, 야후 등 언론 역할을 하는 인터넷 기업에 대한 미국인의 인식을 드러내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 비영리 언론기구인 나이트재단이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해 지난 15일(현지시각)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8%는 구글, 페이스북, 야후 등 인터넷 기업들이 뉴스 제공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보고서는 “미국 성인 대다수는 주요 인터넷업체들의 방식이 뉴스에 대한 편견을 심어주고, 특정 관점의 표현을 제한하며, 인터넷 업체에 이익이 되는 뉴스의 영향력을 키울 수 있다고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인터넷 기업들이 뉴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공개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던 이유가 이 같은 우려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 뉴스를 유통하는 구글과 페이스북은 국내에서도 영향력이 크다. 디자인=이우림 기자. ⓒ gettyimagesbank
▲ 뉴스를 유통하는 구글과 페이스북은 국내에서도 영향력이 크다. 디자인=이우림 기자. ⓒ gettyimagesbank

국내외 인터넷 업체들이 개인맞춤형 콘텐츠 배열을 선보이는 가운데 미국인 다수는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관심사, 인터넷 검색 활동, 웹 검색 기록에 근거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54%는 부정적으로 생각했고 45%가 긍정적으로 봤다. 이를 뉴스에 한정해 조사한 결과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 뉴스보다는 모두가 똑같은 뉴스를 접해야 한다”는 응답이 73%에 달했다. 반면 맞춤형 뉴스를 선호하는 입장은 17%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미국 성인 대다수는 주요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뉴스를 보는 사람들은 관심사와 온라인 활동에 따라 달라지는 콘텐츠보다는 동일한 뉴스를 봐야 한다고 믿는다”며 “맞춤 콘텐츠 접근 방식이 뉴스 보도까지 확대될 때 미국인들은 훨씬 더 우려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6월18일 네이버 기사배열공론화포럼이 공개한 이용자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반응이 나왔다. 네이버가 개인맞춤형 방식의 인공지능 기사 배열 전면 도입을 발표한 이후에 실시된 조사에서 응답자 62.6%는 사람과 인공지능을 결합하는 방식의 기사배열을 선호했다. 인공지능을 전면 활용한 기사배열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23.5%에 그쳤다. 

인터넷 기업들의 허위정보(가짜뉴스)를 막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응답자 85%가 인터넷 기업이 허위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충분히 노력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허위정보의 대응 방안인 인터넷 기업 주도의 뉴스 필터링이 편향될 수 있다는 생각도 63%에 달해 딜레마를 드러냈다.

구글, 페이스북, 야후 등 인터넷 기업들이 신문, TV 등과 같은 방식의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데 응답자 79%가 동의했다. 

응답자들은 정확하고 공정한 뉴스를 전하는 데 주된 책임이 인터넷 기업에 있다고 보지는 않았다. 오히려 책임이 언론사에 있다는 응답(46%)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이용자(38%), 정부(16%)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인터넷 기업들이 언론사의 뉴스를 연결하면서 뉴스를 제공한다. 주요 업체들이 사람에게 보여주는 콘텐츠는 대중의 관점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조사 배경을 설명했다. 조사 대상은 갤럽 패널 가운데 임의로 뽑은 미국 성인 1203명이며 조사 기간은 5월21일부터 6월4일까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