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에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정책 홍보를 담당하는 새로운 인력이 생긴다. 문재인 정부는 최근 디지털소통 강화 목표에 따라 12개 부처에 각각 디지털 담당 인력 3명을 뽑으라고 지시해 채용이 진행 중이다.

각 부처에 생길 3명의 새로운 인력은 디지털소통 콘텐츠 기획 및 메시지 개발(작가)을 담당하는 전문임기제 나급 1명, 디지털소통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전문임기제 다급 2명(동영상‧이미지)이다.

이들은 콘텐츠 기획 및 메시지 개발을 총괄하고 부처 SNS를 운영한다. 자체제작 콘텐츠 성과도 분석 보고한다. 또한 온라인 홍보영상을 촬영해 제작관리하고 카드뉴스와 인포그래픽을 편집 제작한다.

12개 부처에 모두 36명의 인력을 충원하는 계획이다. 정부 부처에 정책 홍보를 맡는 인력이 있긴 하지만 디지털 영역을 특화해 국민과 소통 접점을 넓히려는 계획의 일환이다.

디지털 소통 정책 홍보 인력이 대폭 늘어나면서 각 정부 부처가 지닌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각 정부 부처가 경쟁적으로 정책 홍보 성격의 동영상 콘텐츠를 내놓을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동영상 콘텐츠는 젊은 세대들이 접근하고 수용하기 쉽기 때문에 이들을 타깃으로 한 내용으로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

디지털 인력은 행정부가 내놓는 정책에 대해 일사분란하게 홍보하고 최일선에서 언론 보도와 여론을 주시하며 대응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인력들의 응시자격 요건 및 우대조건만 보더라도 여론에 민감하게 반응하겠다는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정부는 디지털 인력 채용 직무분야 경력으로 온라인 매체 운영기관 근무경력, 언론사 근무경력, 출판사 근무경력, 디지털콘텐츠 메시지 기획 및 제작 등 관련 근무경력 등을 학위 기준으로 제시했다.

정부 관계자는 “개별 부처에서 디지털소통 콘텐츠 행정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올라와서 행정안전부 조직실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행정수요를 조사해 18개 부처 중 12개 부처에 3명씩 인력을 뽑으라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부처 중에 3명의 인력과 별도로 디지털소통 전략을 담당하는 인력을 채용 중인 부처도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은 홍보협력을 담당하는 전문임기제 가급 1명, 국정현안 관련 홍보상황 및 정책 보도 분석을 담당하는 전문경력관 나군 1명을 뽑는다고 최근 채용 공고를 냈다. 전문임기제 가급 인력은 디지털소통 전략 기획 업무를 맡는다. 디지털콘텐츠 제작과 플랫폼 연계 기획, 민간 영역의 디지털 소통 트렌드 분석 등을 하게 된다. 전문경력관 나군 인력은 국정홍보 상황 및 정책 보도 분석, 주요 국정과제 및 정책현안 관련 홍보상황 분석, 매체 정책보도 모니터링 분석, 그리고 동영상 콘텐츠 제작 등을 맡게 된다.

▲ 문재인 대통령.
▲ 문재인 대통령.

다만 각 부처 현장에선 만족할만한 채용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잡음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퇴직을 앞둔 일명 ‘늘공’(늘 공무원)들이 대거 지원하면서 인사 채용 담당자들이 난색을 표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디지털 소통 분야 특성상 트랜드를 읽고 정부 정책을 알기 쉽게 가공해야 하는데 관료들이 자리를 차지하면 애초 디지털 소통 강화라는 목표가 퇴색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에선 청와대의 디지털소통센터(뉴미디어비서관실)와 같은 조직을 각 정부 부처에 둔다고 해서 국정 전반 홍보 기획 기능이 강화되겠느냐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정부 부처 홍보를 맡은 인력은 온라인 대변인 회의라는 걸 하고 있지만 형식적인 내용으로 채워지고 있다는 내부 비판이 나오는데 이번에 채용될 디지털 인력 역시 반짝하다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외주에 맡기는 형태로도 충분하다는 의견도 있다.

청와대 2기 개편안에도 정책 홍보 기능이 대폭 강화됐다. 대표적으로 연설기획비서관과 국정홍보비서관이 신설되고 국정상황실이 국정기획상황실로 개편된 것은 문 대통령의 메시지를 왜곡없이 바로 전달하도록 하고, 국정 전반 홍보 기획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문 대통령이 정책을 발표하거나 주요 현안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면 이에 대한 언론 보도를 예상해 미리 자료 등을 조사해 배포하는 ‘원포인트’ 대응을 하고 여론을 지켜본 뒤 메시지에 살을 붙이고 나아가 향후 확산될 수 있는 메시지까지 선점한다는 게획이다.

이 같은 조치는 최저임금 인상 문제, 송영무 국방장관 경질 및 유임설 등 내부에서 설왕설래하는 일들이 많아지면서 문 대통령의 메시지 전달이 똑바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진단에 따른 것이라고 정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뉴미디어비서관실을 디지털소통센터로 이름을 바꾼 것도 대국민 소통 기능을 더욱 강화해 문재인 정부 2기 정책에 대한 이해도의 문턱을 낮추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